이형기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 교수는 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제약·바이오 컨트롤타워 운영 방안에 대해 “민간 전문가들의 결정이 폭넓게 반영되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 전문가들이 단순히 찬반 표결만 진행하는 거수기 역할만 해서는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그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실질적인 의사 결정 권한이 있어야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담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연구개발(R&D), 사업 개발, 규제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이 필요하다. 컨트롤타워에 여러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야만 인력양성도 산업의 현실에 부합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오케스트라에서 한 명이라도 빠지면 연주를 할 수 없는 것처럼 신약 개발도 유사하다”며 “각 부분의 인력이 고르게 양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컨트롤타워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 법적 지위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먼저 입법보다는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설치를 위한 훈령을 준비하고 있다. 특별법보다 훈령 제정을 통해 컨트롤타워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 교수는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게 아니면 위원회는 소모품처럼 사라질 수 있다”며 “미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라면 법적 근거를 마련해 위원회를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구난방으로 흩어진 바이오 클러스터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발전을 위한 측면은 일정 부분 이해가 가지만 산업계 관점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그는 “보스턴 클러스터가 가능한 것은 자유롭게 창업하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사회적 제도가 있기 때문”이라며 “현재 지방정부의 ‘나눠주기’ 식 클러스터가 운영되고 있는데 정부 차원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