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강달러 불안에 외국인 매도…코스피 또 ‘휘청’

美등급 강등 이후 외인 안전자산 선호현상

NAVER 등 국내 주요 기업 3000억 순매도

코스피200 선물 9000억 팔아 하락 배팅

기관 이달 3조 순매도 연기금 7000억 정리

"中 부동산 파급효과 단기 그칠수도"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종가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45.23포인트(1.76%) 내린 2,525.64로 장을 마쳤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6.0원 오른 1,336.9원에 마감했다./연합뉴스16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종가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45.23포인트(1.76%) 내린 2,525.64로 장을 마쳤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6.0원 오른 1,336.9원에 마감했다./연합뉴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후 중국 경제 불안마저 확산하자 강달러가 예상보다 장기화하며 외국인 매도세에 불을 붙이고 있다. 외국인은 3개월 연속 순매도를 이어가며 증시 약세를 부채질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이날 1.76% 내린 2525.64에 마감했다. 4거래일 연속 하락세로 종가 기준으로는 지난달 10일(2520.70) 이후 최저치다. 상승 추세의 저점이라고 평가 받는 120일 이동평균선까지 떨어졌다. 코스닥 역시 전날보다 2.59% 빠진 878.29를 기록했다. 5거래일 만에 900선을 내줬다. 코스피는 상장 종목 780곳(82%), 코스닥은 1294곳(77.6%)이 하락했다.

국내 증시 하락세는 외인과 기관이 이끌고 있다. 이날도 외인은 장중 1400억 원까지 순매도하다 막판 물량을 다시 거둬들였지만 19억 원 순매도로 거래를 마쳤다. 기관은 3581억 원을 팔았다. 특히 외인은 이날 코스피200 선물을 9194억 원 순매도하며 단기적으로 코스피가 더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달 기준으로 보면 외인과 기관의 매도세는 더 두드러진다. 외인은 이달 코스피를 총 3089억 원 팔았다. 6월(1조 716억 원)과 7월(1조 9745억 원)에 이어 3개월 연속 순매도다. 기관은 이달에만 3조 1058억 원을 정리, 2개월 연속 매도세다.

관련기사



강달러가 외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도의 이유로 분석된다. 안전 자산 선호 현상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6.0원 오른 1336.9원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1341.0원으로 연중 최고점(1343.0원·5월 17일)에 근접하기도 했다.

달러가 역시 강세를 보였던 5월과는 상황이 사뭇 다르다. 외국인은 5월 국내 증시에서 4조 3353억 원을 순매수했지만 이달들어선 유리한 환율에도 주식을 사지 않고 있다.

기관의 조짐도 심상치 않다. 매도 물량 대부분은 금융투자(1조 8330억 원) 부문에서 나왔다. 현물을 팔고 외인의 매도로 가격이 비교적 싸진 선물을 사들이고 있다. 하지만 장기 투자 성격인 연기금(7534억 원)이나 투신(2208억 원)이 이달 1조 원 가량 차익 실현에 나서 증시 하락 압력은 커지고 있다.

업종 별로는 초전도체와 같은 일부 테마주를 제외하면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이날 증시에서는 로봇(-6.7%), 항공우주(-5.6%), 바이오시밀러(-3.3%) 등이 하락했다. 외인의 관심이 큰 은행업도 최근 피치가 미국 70여 개 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약세로 돌아섰다.

하나금융지주(086790)(-1.17%)와 KB금융(105560)(-1.1%), 신한지주(055550)(-1.1%), 우리금융지주(316140)(-1.0%) 등이 이날 동반 약세를 보였다. 시가총액상위 10개 종목 기준 코스피는 SK하이닉스(000660)(0.78%)와 NAVER(0.68%)를 제외한 8개 종목이, 코스닥은 HLB(0.3%)를 제외한 9개 종목이 모두 파란 불을 켰다.

다만 증시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에 따른 외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단기에 그칠 수도 있어 지나친 불안감은 경계하라고 조언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중국 부동산 사태가 달러 강세에 기름을 붓고 있는 것은 맞지만 중국 정부의 적극적 정책이 발동된다면 파장은 단기에 그칠 것” 이라며 “2차 전지와 초전도체 등의 쏠림 현상이 정상화 되는 과정”이라고 분석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