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험 땐 근로자가 “작업 멈추자”…‘안전이 생존’이라는 삼성물산

고용부, 건설사 대표 안전대책 회의서

‘중대재해 없는’ 삼성물산, 우수사례로

안전체계 위해 투자·근로자·하청 ‘합심’

삼성물산 현장에 걸린 작업중지권 안내 현수막./삼성물산삼성물산 현장에 걸린 작업중지권 안내 현수막./삼성물산




“자율안전보건 경영체계 정책은 경영의 절대가치입니다. 안전을 생존으로 인식합니다.”



삼성물산이 고용노동부가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연 ‘건설업 안전보건리더 회의’에서 공개한 사고예방 활동사례 자료 한 부분이다. 삼성물산은 시공 1위 건설사다. 이는 건설현장이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많다는 의미로 그만큼 안전사고 위험도 클 수밖에 없다. 건설업은 야외에서 위험 작업을 하는 탓에 전체 산업재해 중 비중이 절반일 정도로 사고 다발 업종이다. 그런데 삼성물산 현장에서는 작년부터 중대재해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 비결은 현장을 가장 잘 아는 근로자를 촘촘한 안전보건 관리체계 중심에 두고 안전문화를 내재화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날 삼성물산을 비롯해 15개 건설사 대표가 참석한 회의에서 삼성물산은 여느 건설사가 하지 못하는 사고 예방 대책들을 소개했다. 우선 투자 확대다. 원청인 삼성물산은 협력사(하청)의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투자를 기존 보다 2.7배 늘렸다. 협력사에 안전관리비를 전액 먼저 지급하고. 협력사의 안전담당자 양성과 인건비도 지원한다. 이는 다단계 하도급이 일상화돼 사고 책임이 불명확하고 안전관리 체계가 허술해진 여느 건설 현장들과 대비된다.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근로자가 작업중지권을 너무 쉽게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삼성물산의 올해 작업중지권은 2021년 대비 27배나 늘었다. 대부분 건설현장은 늘 기한 내 공장 완료 압박을 받는다. 관리자 앞에 ‘을’인 현장 근로자가 작업중지권을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 통념이다. 이를 잘 아는 삼성물산은 작업중지권을 자유롭게 쓰도록 제도화했다.작업중지는 모바일 기기로도 활용가능하다. 무엇보다 누가 작업중지권을 썼는지 익명이 보장되는 게 특징이다. 작업중지권이 발동되면, 삼성물산 긴급조치반은 1시간 내 조치를 마치는데, 조치율은 92%에 달한다. 하도급계약서에는 작업중지로 인한 손실을 삼성물산이 보장한다는 조항도 넣었다.

이날 회의는 이정식 고용부 장관이 건설사에 느슨해진 안전 의식을 다잡고 안전 대책 마련을 당부하기 위해 열렸다.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현장에서 사고사망자는 올해 79명으로 벌써 작년 74명을 넘었다. 건설업에서는 매해 200여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는다. 참석한 건설사 중에서는 중대재해가 빈번한 곳이 적지 않다. 이 장관은 “건설사는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실제로 이행되는지 다시 확인해야 한다”며 “중대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수사하고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