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원희룡 "稅혜택·미분양 인센티브 등 수요 늘리는 대책은 없을 것"

원희룡 장관 "추석 전 정책 발표"

양도세 등 법개정 사항은 배제

PF 만기연장 통한 금융지원 전망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달 1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공주택 혁신 전문가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달 1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공주택 혁신 전문가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달 말 발표할 주택 공급 대책과 관련해 “수요를 키울 수 있는 대책은 공식적으로 배제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도소득세 비과세 등 법 개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시일이 걸리는 만큼 이번 대책에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원 장관은 11일 서울 종로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국가상징공간 관계기관(국토부, 국건위, 서울시)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특정 주거 유형에 대해 세금을 면제해줘 투자 수요가 들어올 수 있게 하거나 미분양을 개인들이 살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수요를 늘려 공급을 당기는 식은 배제하는 게 맞지 않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세금을 건드리는 건 법을 고쳐야 하는 문제도 있고 부작용이 너무 크다”며 “이번에는 철저히 공급 쪽에 집중해서 보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이번 공급 대책에 읍, 면 단위의 미분양 아파트 취득세 및 양도소득세 비과세, 양도세 중과 폐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전망한 데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 오피스텔도 2020년 8월부터 주택으로 보고 세법을 개정하며 각종 주택 관련 세금이 과세되고 있다.

관련기사



오피스텔이나 도시형생활숙박시설을 주택 수에서 배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주택법상 도시형생활주택은 공시가격 1억 원 이상 또는 전용 20㎡ 이상이면 주택 수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원 장관은 “국회 입법 필요한 부분은 당장 하기 어렵고 최소한 몇 달 이상 시간 걸린다”며 “또 수요 쪽을 건들면 투자 내지 투기 수요가 몰려 주택 시장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유력한 공급 방안으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연장 등을 통한 금융 지원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원 장관은 “(비아파트 문제가) 수요가 부족해서 공급이 안된다고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규제나 금융 쪽에서 이 같은 유형을 배제하니 (사업이) 돌아가지 않는 측면이 있다”며 “금융당국,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해 막힌 혈을 풀어 전체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공급 대책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추석 전을 꼽았다. 원 장관은 “국토부가 주택 공급의 최종 책임자기에 (공급 부족 사태를) 적극적으로 볼 것”이라며 “수요를 자극할 수 있는 것은 원칙적으로 배제한다는 입장에서 최종 협의 단계에 있다. 추석 전까지는 공급 대책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시간이 쌓여야 경색된 흐름을 반전 시킬 수 있을 것 같다”며 “시기적으로 12월이나 내년 3월까지 딱딱해진 (공급을) 푸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