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수도 사교육업체와 '카르텔'…겸직 근무 행태 개선해야"

양정호 교수, 한반도선진화재단 토론회서 지적

일부 대학 교수들 사교육 업체 사외이사 재직

"연결고리 차단 위해 상시 모니터링 필요"

사진 제공=양정호 성균관대 교수사진 제공=양정호 성균관대 교수




교사뿐 아니라 대학교수까지 사교육 업체의 임원으로 재직하는 또 다른 ‘입시 카르텔’이 존재한다며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는 4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반도선진화재단·교육데이터분석학회 주최로 열린 ‘2028 대입 개편 방향’ 세미나에서 “사교육 업체에서 임원으로 재직하는 교수들이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관련기사



양 교수에 따르면 A 사교육 업체에는 H대 교육공학과 교수가 사외이사로, B 사교육 업체에는 K교대 부총장이 사외이사로 각각 재직하고 있다. S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K대 경영대 교수, D대 경영대 교수 역시 각각 다른 사교육 업체의 사외이사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 H대 초빙교수도 현재 모 사교육 업체 상근 감사 임원을 지내고 있다. 양 교수는 이를 ‘사외이사 카르텔’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교육과 교수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대학교수가 사교육 업체에서 사외이사나 임원으로 겸직 근무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양 교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검토진에 특정 대학 출신이 쏠려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수능 출제·검토 위원에 서울대·고려대·한국교원대 등 특정 대학 출신이 다수 참여하는 것도 ‘입시 카르텔’”이라고 지적했다.

수능 출제·검토 위원은 500여 명 규모인데 지난해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에 서울대 출신 출제·검토 위원이 62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고려대와 한국교원대의 경우 출제·검토 위원이 20명대로 많았다. 앞서 교육계에서는 특정 대학 출신 위주로 출제·검토 위원이 구성되면 서로 견제하지 않아 출제 오류를 걸러내기 쉽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