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거인의 등 올라탄 삼성, 30년간 질주…제2 대전환 준비해야"

■삼성 신경영 30주년 학술대회

"마누라·자식만 빼고는 다 바꿔라"

30년전 '프랑크푸르트 선언' 발판

초격차 삼성, 퍼스트무버로 도약

미술품 기부·희귀병 환아지원 등

메디치家처럼 시대상징 자리매김

"새로운 도전과 혁신 나서야 할때"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3주기를 맞아 18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개최된 ‘삼성 신경영 30주년 학술대회’에 참석한 청중이 이 회장의 신경영 영상물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3주기를 맞아 18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개최된 ‘삼성 신경영 30주년 학술대회’에 참석한 청중이 이 회장의 신경영 영상물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은 이건희라는 거인의 등에 올라타 30년 동안 발전해왔습니다. 이제 프랑크푸르트에서 피렌체로 나갈 때입니다.”



김상근 연세대 신학과 교수는 18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삼성 신경영 30주년 국제학술대회’에 두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서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르네상스 시대 명문가였던 메디치 가문과 비교하며 이처럼 분석했다.

이 회장이 30년 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모두 바꾸자”며 신경영을 선언한 뒤 ‘초격차’의 삼성이 만들어진 것처럼 앞으로는 메디치 가문과 같은 창조와 사회 공헌의 문화를 삼성에 더해 ‘퍼스트무버(선도자)’로서 한 단계 더 도약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메디치 가문이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한 시대를 이끌어 근대를 앞당긴 것처럼 이 회장도 대한민국의 한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사후 기증한 국보 216호 인왕제색도.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사후 기증한 국보 216호 인왕제색도.


그는 먼저 이 회장 사후 유가족이 기증한 일명 ‘이건희 컬렉션’에 메디치 가문과 비슷한 시대정신이 담겨 있다고 평가했다. 이 회장 유족은 2021년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던 미술품 2만 3000여 점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및 지방 미술관 등에 기증했으며 당시 미술계에서는 “작품을 재분류해 가치를 재평가하려면 우리나라 미술사를 다시 써야 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겸재 정선의 대표작 ‘인왕제색도(국보 216호)’를 비롯해 고려 불화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보물 2015호)’, 단원 김홍도의 ‘추성부도(보물 1393호)’ 등이 이건희 컬렉션에 포함된 대표작들이다. 고흐·고갱·모네·샤갈·피카소 등 서양 근대미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장들의 작품과 김환기·이중섭·박수근·장욱진 등 한국 근대미술 대표작도 다수 기증됐다.

관련기사



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가 18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삼성 신경영 30주년 학술대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자료제공=삼성전자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가 18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삼성 신경영 30주년 학술대회에서 강연하고 있다. 자료제공=삼성전자


김 교수는 “이 회장은 1970년대부터 미술품을 수집했는데 단순히 돈만 투자한 게 아니라 매일 2~3시간씩 전문가들과 직접 공부해가며 작품을 선정하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면 값을 따지지 않고 일괄 구매했다”며 “이 같은 철두철미함이 삼성 신경영의 근간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흔히 고(故) 이병철 회장은 청자를 좋아했고 이건희 회장은 백자를 좋아했다고 하는데, 이병철 회장은 작품의 미적 가치를 중시하고 이건희 회장은 한국의 아름다움을 정립하려 한 것으로 해석한다”며 “보통 아들이 아버지의 그림자에 가리는 경우도 있지만 이건희 회장은 부친의 영향력을 이어받으면서도 레퍼토리를 확장해 더 큰 성장을 이뤄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012년 호암상 시상식에 홍라희 여사의 손을 잡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012년 호암상 시상식에 홍라희 여사의 손을 잡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회장의 국내 미술품 수집 과정에서 전해지는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해외 경매장에서 국내 문화재를 두고 경쟁이 붙을 경우 상대방이 외국인이면 가격을 묻지 말고 사와야 하지만 한국인과 맞붙으면 물러서라는 게 이 회장의 지시였다”며 “이런 원칙은 이 회장의 미술품 수집이 투자가 아니라 사회 공헌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회장의 기부는 이뿐만이 아니다. 그가 감염병, 소아암, 희귀 질환 등 의료 분야에 기여한 금액만 총 1조 원에 이른다. 이 돈은 감염병 전문 병원 설립 및 소아암, 희귀 질환 환아 지원에 쓰이고 있다.

과학기술 육성, 체육, 복지 분야 등에 대한 기부도 빼놓을 수 없다. 삼성이 세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 규모는 현재 2조 5000억 원에 이른다. 삼성의 대표 사회 공헌 사업인 시각장애인 안내견 사업과 삼성복지재단, 한국판 노벨상으로 불리는 호암상 등도 삼성의 대표적인 사회 공헌 사업이다.

이재용(뒷줄 왼쪽 두 번째) 삼성전자 회장이 올 9월 열린 안내견학교 3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이재용(뒷줄 왼쪽 두 번째) 삼성전자 회장이 올 9월 열린 안내견학교 3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김 교수는 “단순히 기부금의 액수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기부의 목적과 일관성”이라며 “삼성의료원이 우리나라 병원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꾼 것처럼 기부를 통해 문화와 제도를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게 이 회장 기부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 경영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회장은 항상 현재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혁신을 추구했다”며 “르네상스인(人)이었던 이 회장의 어깨에 올라탄 삼성이 새로운 도전과 도약에 나서야 할 때”라고 거듭 강조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