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지에서 파업을 비롯한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지자 비용 부담에 지친 기업들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 혁신으로 인력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력·비용 등 ‘축소 지향’에 나선 기업과 일자리·임금 보전을 사수하려는 근로자 간 대립은 갈수록 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현지 시간)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렌고)는 2024년 춘계 노사협상에서 ‘5% 이상’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렌고는 올해 임협에서도 평균 3.58%로 30년 만에 가장 높은 인상률을 이끌어 낸 바 있다. 기시다 후미오 정권이 ‘임금 인상’에 적극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지만 불경기 속 2년 연속 큰 폭의 임금 인상에 재계가 벌써 난색을 표하고 있어 관철이 될지는 미지수다.
미국의 상황도 비슷하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4년간 36%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이어오고 있으나 사측은 20% 이상 인상 시 기업 존속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내도 다를 바 없다. 포스코는 노조가 ‘기본급 13.1%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나서 사상 첫 파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인건비·파업 리스크에 기업이 꺼내든 카드는 해고와 AI·로봇 도입이다. 기술 혁신에 민감한 정보기술(IT) 업계가 가장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구글·메타 등 빅테크는 지난해 말부터 수만 명을 감축한 데 이어 현재까지도 수시로 해고를 진행하고 있다. 유일하게 인력과 투자가 늘어나는 분야는 AI다. AI 고도화로 사람의 빈자리를 채우겠다는 전략이다.
고용 유발 효과가 큰 물류·배송 분야에서는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고 있다. 아마존은 최근 창고에 배치한 휴머노이드 로봇 ‘디짓’을 공개했다. 현재 아마존은 75만 대 이상의 로봇을 이용해 인력을 보조하고 있는데 신형 로봇은 단순한 도움을 넘어 근로자를 대체할 수 있다는 평가다. 미국 내 2개 주에서는 이미 소형 소포와 약재 배달에 드론이 쓰이며 배송 인력을 대체하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