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비명계 "숨 쉴 수 없다"…'친명 중심' 총선 채비에 불만

조응천 "당 친명 일색" 지적

이원욱, 탈당 가능성 내비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야당 의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 모여 있는 모습. 오승현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야당 의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 모여 있는 모습. 오승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친명’ 중심의 총선기획단 구성에 이어 이재명 대표가 직접 인재 영입을 주도하기로 하자 당내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당 대표 임기 내내 계파 갈등의 중심에 섰던 이 대표가 공정하고 원만한 총선 운영을 할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 같은 지적에 지도부는 ‘과도한 걱정’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지만 비명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다.

민주당 내 대표적인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9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가 된 후 1년 반 이상 동안 우리 당은 거의 사당화의 길로 계속 가고 있다”며 “친명 일색의 당 조직, 거기다가 총선 전에 현직 대표의 친위대를 자초하는 원외 조직이 생겨서 그분들이 다 총선 출마를 한다고 움직인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총선을 앞두고 조금이라도 대표에게 쓴소리를 하거나 다른 목소리를 내면 그냥 ‘너는 수박’이라는 분위기가 꽉 차 있다”며 “저는 민물고기라서 담수에 들어왔는데 지금 소금물이 돼 숨을 쉴 수가 없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거취 결정의 ‘마지노선’에 대해서는 “12월까지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비명계인 이원욱 의원도 전날(8일) BBS 라디오에서 모든 일이 “도저히 민주당은 개선해서 쓸 수 없다는 판단을 갖게 된다면 또 다른 결단을 할 수 있는 의원들이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 본인도 또 다른 결단을 내릴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부연했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이들 비명계의 움직임이 탈당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금태섭 전 의원 등과 함께 ‘제3지대’ 구축 작업을 하는 이상민 의원을 제외하고는 직접 행동에 나선 이가 없기 때문이다. 비명계 의원 상당수가 지역구에서 기반을 갖추고 있는 만큼 이른바 ‘자객 공천’에 나서는 원외 친명 조직과의 경쟁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갈등이 쌓이다 보면 분열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만큼 지도부가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 대표가 비명계에서 주장하는 TK(대구·경북) 등 험지 출마까지는 어렵더라도 ‘탕평’ 공관위 및 선대위 구성 요구는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이번 총선에 이 대표 본인의 정치생명이 걸린 만큼 의석수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