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제 백화점서는 사진만 찍어요"…'영끌 플렉스족' 지갑 닫자 백화점 '실적 충격'

9일 오후 서울 명동을 찾은 시민들이 신세계백화점 본점 외벽에 설치된 미디어 파사드를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9일 오후 서울 명동을 찾은 시민들이 신세계백화점 본점 외벽에 설치된 미디어 파사드를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 당시 호황을 누렸던 백화점 업계가 올해 3분기에는 초라한 실적을 기록했다. 보복소비로 인해 지난해에는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지만 금리 인상, ‘초인플레이션’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명품 시장의 큰손’이었던 MZ세대 등이 지갑을 닫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물가상승과 연동된 관리비, 판촉비 등 비용 지출이 커지면서 실적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주요 백화점 3사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모두 두 자릿 수 감소했다.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특히 패션 분야의 타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롯데백화점은 3분기 영업이익이 7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감소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2% 감소한 7530억원이었다. 1~3분기 누계로는 매출의 경우 2조3720억 1.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6.7% 감소한 2680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쇼핑의 한 관계자는 “여름의 더운 날씨가 9월까지 이어지며 가을, 겨울 상품 판매가 부진했다”며 “물가상승으로 인한 고정비 증가가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등 ‘빅3 백화점' 역시 올해 매출은 더디게 성장한 반면, 영업익은 감소세를 보였다.

현대백화점은 3분기 매출이 5802억원으로 3.5% 늘어 그나마 성장세를 유지했다. 영패션, 식품, 리빙 등 상품군의 매출 호조 덕이다. 그러나 일부 점포(본점·목동점·더현대 대구 등) 리뉴얼과 인건비 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798억원)은 17.4% 감소했다.

지난해 9월 화재로 문을 닫은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이 올해 6월 재개장하면서 3분기 실적에 반영된 점을 감안하면 다소 아쉬운 실적이란 평가다.

신세계백화점도 3분기 매출액은 역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한 6043억원을 기록한 것이다. 물가상승과 연동된 관리비, 판촉비 등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928억원으로 15.1% 감소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