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하이투자증권, '꺾기' 논란 속 징계성 인사…김진영 사장은 면직

임원 7명 중징계 통보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하이투자증권 본사. 사진 제공=하이투자증권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하이투자증권 본사. 사진 제공=하이투자증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꺾기’ 논란에 금융감독원 조사를 받고 있는 하이투자증권이 징계성 인사를 단행했다. 금융당국의 조치가 있기 전 문제가 된 임원들을 정리해 제재 수위를 낮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이투자증권의 캐시카우(수익창출원)였던 부동산 금융 부문도 조직 개편을 통해 힘 빼기에 나섰다.



14일 하이투자증권은 부동산 금융 부문 임원 7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관련기사



이번 인사에서는 임원 2명이 면직 처분을 받았는데 이 중 김진영 투자금융총괄 사장이 포함됐다. 김 사장은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부문을 키워냈다는 평을 받는 인물로, 지난해 연봉 65억 원을 받으며 여의도 ‘연봉왕’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부동산 PF 부문 실적이 악화된 데다 최근 흥국증권에 다니는 아들에게 15조 원 규모 기업어음(CP)을 몰아줬다는 의혹을 받으면서 면직 처분을 받았다.

하이투자증권은 인사와 함께 조직 개편을 통해 부동산 금융 조직을 축소했다. 기존 총괄급 조직이었던 부동산 금융 부문은 대표이사 직속 4개 실로 조정됐다. 프로젝트금융실, 구조화금융실, 부동산금융실, 투자금융실이 그것이다. 각 자리에는 진태우 프로젝트금융실장, 홍원표 구조화금융실장, 함재두 부동산금융실장, 민재훈 투자금융실장 등이 신규 선임됐다. 하이투자증권은 ‘총괄-부문-본부-실’로 조직 체계를 이루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투자심사실도 신설했다. 또한 투자심사 업무의 관리·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리스크관리본부 내 리스크감리부도 신설했다.

하이투자증권의 이번 인사와 조직개편에 대해 업계에서는 금융감독원의 조치가 있기 전 문제가 됐던 임원을 퇴거시켜 제재 수위를 낮추려는 시도로 해석한다. 앞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하이투자증권이 한 부동산개발업체에 대출을 내주는 조건으로 30억 원 상당의 자사 부실 채권을 팔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금감원은 지난 6일 하이투자증권에 부동산PF 등 사전 자료 제출을 요구했으며, 현재 서면 조사 중이다.


양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