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얘들아 밥 먹고 학교 가자"…아침 먹으면 '1석 3조' 효과 톡톡

사진 출처 = MBC 시트콤 캡처사진 출처 = MBC 시트콤 캡처




아침식사를 거의 하지 않는 대학생은 매일 아침을 먹는 대학생보다 대사증후군이 생길 위험이 1.7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희경·정수민 교수, 김효명 전문의 공동 연구팀은 2016∼2018년 서울대에서 학생건강검진을 받은 18∼39세 남녀 대학생 1만2천302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결식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최근호에 발표됐다.

대사증후군은 각종 성인병의 지표로 '허리둘레'(남자 90㎝, 여자 85㎝ 이상), '공복혈당'(100㎎/dL 이상), '혈압'(수축기 130/이완기 85㎜Hg 이상), '중성지방'(150㎎/dL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남자 40㎎/dL, 여자 50㎎/dL 미만)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3개 이상일 때를 말한다.

방치하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서울대생의 56.8%(6천981명)가 아침 식사를 주 4회 이상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3.1%로 아침 식사를 매일 하는 학생 그룹(2천152명)의 1.7%보다 높았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아침 식사를 4회 이상 거르는 학생에게 대사증후군이 생길 확률이 아침 식사를 매일 하는 경우보다 73%(1.73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전문가들은 아침 식사를 자주 거르면 식욕 조절이 어려워지고 결국 과식하게 됨으로써 대사증후군이 생길 확률이 더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사진 출처 = 연합뉴스


조희경 교수는 "아침 식사를 하면 하루 종일 혈당 수준의 변화가 완만해져 인슐린 저항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식욕 조절도 쉬워진다"고 말했다.

이어 "반대로 아침을 결식하면 점심, 저녁, 야식 등을 먹을 때 식후 혈당 반응이 더 커지고, 혈당 수준의 급격한 변동은 식욕을 자극해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게 하는 악순환을 부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침 식사가 뇌를 활성화하고 집중력과 기억력, 학업, 작업 수행 능력을 향상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요즘 대학가에서 확산하는 '천원의 아침밥'처럼 청년기 성인에게 건강한 식사 습관을 형성해주려는 사회적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정수민 교수는 "이제 갓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청년기에 형성된 식사 습관은 이후 평생 지속될 수 있다"며 "최근 증가하는 대사질환과 비만율을 관리하려면 소아·청소년뿐 아니라 청년기 성인에서도 아침식사를 포함한 건강한 식사 습관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