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메타버스로 돌아온 궁중의례…제일기획, 문화재지킴이 우수기업 선정

민관 협업 '헤리버스 공존 프로젝트'

증강·가상현실과 메타버스 접목시켜

조선 돈의문·군기시·궁중의례 복원해

제일기획이 디지털로 재현한 문화유산 사례. 사진 제공=제일기획제일기획이 디지털로 재현한 문화유산 사례. 사진 제공=제일기획




제일기획(030000)이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지킴이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민관이 협업한 '헤리버스 공존 프로젝트'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화유산 복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표창은 24일 웨스틴조선 서울에서 이뤄졌다.



헤리버스 공존 프로젝트는 △제일기획 △문화재청 △서울시 △우미희망재단이 5년쨰 추진중인 문화재 복원 사업이다. 이들은 지난 2018년 ‘문화재 디지털 재현 및 역사문화도시 활성화’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후 제일기획은 증강·가상현실과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시켜 역사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2019년에는 한양도성 ‘돈의문(敦義門)’을 104년 만에 복원했다.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연평균 3만 명 이상이 옛터인 정동사거리 일대에서 가상으로 돈의문을 체험하며 역사 교육의 장으로 자리잡았다.

올 2월에는 140년 만에 무기제조 관청 ‘군기시(軍器寺)’를 되살리기도 했다. 이는 조선시대 중앙 관청이 디지털로 복원된 첫 사례다. 이달 21일에는 무형 문화유산인 경복궁 궁중의례를 가상 재현하는 성과를 거뒀다. 경복궁 방문객이 근정전에서 메타버스 모바일앱 ‘공존’을 실행하면 1887년 열린 신정왕후의 팔순 축하 진하례를 체험할 수 있다.

표창에서 문화재청 관계자는 “돈의문과 군기시의 디지털 복원은 교통체증·예산·공간의 제약 등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새로운 모범사례를 제시했다”며 “경복궁 진하례 재현 역시 현장 기반의 디지털 무형유산 재현의 첫 사례로 체험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일기획 관계자는 “우리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관광 및 역사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문화유산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황동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