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극 눈 속 납 성분, 10년 만에 절반으로 줄어…"중국 영향 감소"

베이징 올림픽 때부터 중국이 오염물질 저감 정책 펼쳤기 때문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북극 그린란드 눈에 기록된 납 성분이 10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극지연구소의 이강현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2017년 그린란드에서 채집한 눈 시료로 북반구 대기에서 배출된 오염물질과 기원지를 추적했다. 2012∼2017년 쌓인 눈의 평균 납 농도는 단위 그램당 10.6 피코그램(1피코그램은 1조분의 1g)으로,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2003∼2009년의 평균 21.5 피코그램보다 49%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납의 동위원소비를 이용하면 해당 납 성분을 배출한 기원지와 각 지역의 비중을 추정할 수 있다. 각 지역에 따라 특정한 납 동위원소비가 유지돼 지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그린란드 눈의 납 성분은 대부분 북반구의 다른 지역에서 날아왔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양에 큰 변화가 확인됐다.

그린란드 눈 시료에 기록된 납 성분의 기원지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36%에서, 2010년대 23%로 13%포인트 감소했다. 연구팀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무렵부터 중국이 오염물질 저감 정책을 펼쳤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동북아시아에서 북극 그린란드까지 날아간 이번 납 성분 사례처럼 대기오염 물질은 종류에 따라 배출지 주변뿐 아니라 수천 ㎞ 멀리 떨어진 곳에 전달돼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오염물질의 기원지와 수송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극 눈의 납성분 변화 추이. 자료 : 극지연구소북극 눈의 납성분 변화 추이. 자료 : 극지연구소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