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韓스타트업 글로벌 개방성 확대"..한마음으로 뭉친 여야

국회 유니콘팜 정책토론회 개최

벤처투자법 출자제한율 단계적 축소

외국환거래 복잡한 절차 개선 건의

/강훈식 의원실 제공/강훈식 의원실 제공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글로벌 개방성을 확보하려면 벤처투자법, 외국인투자촉진법 등 입법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회 유니콘팜(공동대표 강훈식·김성원 국회의원)과 아산나눔재단·스타트업얼라이언스·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11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 개방성 확대를 위한 입법과 정책과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이전에 진행된 '스타트업코리아! 정책제안발표회'의 후속행사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청에 따라 마련됐다.



유니콘팜 공동대표인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주 초기 유니콘팜에서 발의했던 공유주차장 관련한 주차장법이 통과됐다”며 “글로벌 개방성에 대한 실천적인 논의를 통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입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유니콘팜 책임연구위원을 맡고 있는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현장에 참석해 “국민과 입법부에 스타트업 생태계 글로벌화를 위한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오늘 토론회가 이런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서효주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글로벌 개방성 진단 및 주요 이슈'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는 아직 정부 주도 내국인 중심으로 활성화된 생태계”라며 “글로벌 개방성이 확대될 경우 세원·IP의 해외 이전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겠으나, 오히려 지금은 개방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는 △절차와 규제의 완화 △지원 프로그램의 구성 및 퀄리티 제고 △인식 개선 및 인프라 고도화 등 개선 과제들을 실행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 김성훈 법무법인 미션 대표 변호사는 “스타트업은 '본투글로벌'한 존재”라며, 글로벌 시장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려는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입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했다. 김 변호사는 “외국인투자촉진법 개정을 통한 법인 설립에 필요한 최소자본금 요건 명확화 및 국내 송금 절차 간소화”, “국내 자본의 해외 진출을 가로막는 벤처투자법상 출자제한율 단계적 축소 또는 폐지” 등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김선우 STEPI 중소·벤처 기술혁신정책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글로벌 개방성 확대를 위한 입법 개선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정진욱 시어스랩 대표는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에 있어 네트워크와 자본이 중요하다”며 해외에 한국계 벤처캐피탈이 자리 잡고 자본과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중장기적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해외 창업가 교류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는 것은 한국 시장의 우군을 확보하는 장기적 전략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덕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 대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글로벌 개방성은 개별 스타트업만이 아니라 투자자, 지원기관 등 모든 플레이어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는 것"이라며 “외국환거래의 번거로운 절차 및 비효율의 개선을 비롯해 국내 펀드는 국내 기업에만 투자하도록 하는 제약 조건 등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리콘밸리에 닥친 투자 혹한기가 오히려 국내 스타트업 투자 자본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