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가 내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50년 뒤에는 3000만명대 중반이 되며,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인 1700만명은 고령 인구일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인구는 늘고 있어 2072년 우리나라 생산연령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으로 채워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에 따르면 외국인의 국제 순이동(순유입)은 향후 50년간 연평균 9만 6000명(고위 추계 기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이들 중 생산연령인구는 연평균 9만 1000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50년 후에는 약 455만명의 외국인 생산연령인구가 추가된다는 것이다. 이 숫자를 지난해 11월 기준 외국인 인구인 175만 2000명과 더하면 630만 2000명이 된다.
이 같은 상황에 더해 우리나라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관련 비관적인 시나리오(출산율 저위·기대수명 저위)가 현실화한다면 2072년 생산연령인구는 1667만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연령인구의 외국인 비중이 37.8%로 치솟는 것이다. 50년 후에는 생산연령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이 되는 셈이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올해 944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2025년에는 1000만명을 넘어서고 2072년에는 1727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 인구 구성비는 지난해 17.4%에서 빠르게 증가해 2025년 20%,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70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592만명에서 2033년 1000만명을 넘고, 2072년에는 1474만명(40.7%)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0~14세 유소년 인구는 지난해 595만명(11.5%)에서 2040년 388만명(7.7%), 2072년 238만명(6.6%)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0~5세 영유아 인구는 지난해 188만명(3.6%)에서 2040년 163만명(3.3%), 2072년 96만명(2.7%)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한국의 고령 인구 비중은 2022년 17.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나 2072년 47.7%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의 총부양비는 2022년 40.6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으나 2072년 118.5명으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OECD 38개국 기준으로 한국의 출산율은 2022년(0.78명)부터 2072년(1.08명)까지 최하위를 지키게 된다. 출산율 1.0명을 밑도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의 비중은 2072년에는 45.8%로 유일하게 50%를 밑돌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도 2072년 47.7%로 압도적인 1위다. 고령자 비중 40%를 웃돌 것으로 전망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