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정수소의 기준을 수소 1㎏ 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로 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청정수소 인증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구축돼 있지 않은 액화수소 충전소를 내년까지 40기 확충하고 수소전기차 보급을 늘리는 등 수소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도 내놓았다.
18일 정부는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방안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등 안건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청정수소 인증제’를 통해 수소 생산·수입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청정수소로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운영방안에는 청정수소의 기준을 수소 1㎏ 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로 설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발전·수송·산업 등 분야에서 2030년 기준 청정수소 수요가 80만 톤 이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올해 0%에서 2030년 2.1%로 늘리는 목표를 잡고 있다. 산업부는 “청정수소 기준이 제시됨에 따라 내년에 개설될 청정수소발전입찰시장 등 연관 제도의 차질없는 시행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업들의 청정수소 관련 투자도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도 수립했다. 수소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을 위해 수전해, 액체수소 운반선, 수소터빈 등 수소산업 10대 분야 40대 핵심품목을 도출한다. 이어 △원천기술 확보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향후 상용차 중심으로 수소차 보급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특히 수소버스는 올해 11월 기준 582대 운영 중이지만 △2024년 2700대 △2027년 9000대 △2030년 2만 1200대로 꾸준히 늘려간다는 목표다.
수소차 이용자들에게 가장 큰 불편 요소로 꼽혔던 수소충전소도 계속해 확대한다. 현재는 구축돼 있지 않은 액화수소 충전소를 내년까지 40기 확충한다. 이어 △2025년 110기 △2027년 190기 △2030년 280기까지 늘린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운영해 R&D 역량을 결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수소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차세대 수전해 기술 등 국산기술의 산업현장 적용을 지원한다.
한편 이날 사전행사로는 국내외 주요 수소기업 간 업무협약 체결이 진행됐다. 협약을 체결한 LG화학, SK E&S, 효성중공업, 블룸에너지, SK에코플랜트 등 국내외 수요 대기업과 액화수소탱크·전극소재·분리판 등 주요 소부장 분야 국내 대표기업들은 기술개발, 공급망 구축 등을 협력하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