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내년 부산항 물동량 2340만TEU 목표…올해보다 2.8%↑

BPA, 부산항 환적경쟁력 강화

신규 화주 발굴에도 총력

올해 물동량 2275만TEU 전망

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치 기록

부산항 신항 전경. 사진제공=BPA부산항 신항 전경. 사진제공=BPA




부산항만공사가 내년 부산항 물동량 목표치를 올해보다 2.8% 늘려 잡았다.



부산항만공사(BPA)는 2024년 부산항의 총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목표를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2023년보다 2.8% 증가한 2340만TEU로 정했다고 19일 밝혔다.

목표 수치인 2.8% 증가율은 과거 5개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연평균 증감률 0.5%를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 수출입 물동량 예측모델과 부산항 이용 주요선사의 환적 전망치를 합산한 자연증가 총물동량 전망치(2312만TEU)보다도 약 1.2%p 높은 수치이다.



BPA는 글로벌 교역위축과 부산항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도 불구하고 화물을 옮겨 싣는 환적물동량을 적극 유치해 4.0% 증가한 1263만TEU를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수출입물동량은 1.5% 증가한 177TEU로 정했다.

관련기사



부산항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위축, 유가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동북아 주변국 항만의 부산항 환적 노선 견제 움직임과 일본 내항 피더 서비스 확산 등은 부산항 환적 물동량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글로벌 선사 A사의 부산항 환적 거점화 지속, 2024년 일본 육상운송비 상승으로 인한 현지 화주의 부산항 환적 선호 강화, 신항 신규터미널 개장에 따른 물류환경 개선 등 부산항을 둘러싼 긍정적인 요인도 존재한다고 BPA는 설명했다.

BPA는 해운물류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선사들을 대상으로 부산항의 계량데이터를 활용해 환적 경쟁력을 홍보할 예정이다. 또 신항 신규 터미널 개장 등을 통한 항만 운영 여건과 효율성 개선, 일본 전략지역 신규화주·물류기업 발굴 등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강준석 BPA 관계자는 “글로벌 수요위축과 러·우전쟁 장기화, 중동사태 등 불안한 외부 환경 속에서 내년 컨테이너 물동량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은 2.9% 증가한 1061만TEU, 환적 물동량은 3.2%증가한 1214만TEU를 기록하며 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치인 2275만TEU(전년 대비 3.1%↑)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