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자동차

전동화로 힘을 더한 패밀리카의 매력 -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별별시승]

1.6L 터보 엔진과 전기 모터의 조화

한층 뛰어난 효율성으로 시선 집중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압도적인 성과’를 올리는 차량이 있다면 단연 MPV 시장의 절대적 강자, ‘기아 카니발(KIA Carnival)’이라 할 수 있다.

카니발은 지난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가족을 위한 차량으로 수 많은 가장들의 ‘파트너’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게다가 일본 및 해외의 여러 수입 MPV와의 경쟁 속에서도 우수한 실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모습 역시 이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디자인 및 상품 경쟁력을 더한 더 뉴 카니발이 등장했다. 새로운 카니발은 하이브리드 사양을 마련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시할 뿐 아니라 ‘시대의 흐름’ 그리고 변화를 알리는 모습이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카니발은 과연 어떤 매력과 가치를 제시할까?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이하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지금까지의 ‘카니발’이 과시해왔던 넉넉하고 여유로운 MPV의 매력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실제 브랜드가 밝힌 제원에 따르면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5,155mm의 긴 전장과 함께 각각 1,995mm와 1,785mm의 전폭과 전고, 그리고 3,090mm에 이르는 긴 휠베이스 등을 통해 ‘모두를 위한 차량’임을 명확히 드러낸다. 참고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더해지며 공차중량은 2,165kg(7인승, 19인치 휠, 타이어)에 이른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새로운 얼굴로 이목을 끌다

카니발 하이브리드의 외형적인 핵심은 단연 새로운 디자인을 더해 ‘기아의 새로운 얼굴’을 구축함에 있다. 이러한 모습은 중형 SUV, 쏘렌토부터 시작되어 기아의 많은 차량에 적용되며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착실히 알리는 모습이다.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 DRL를 적용한 전면은 최신의 쏘렌토와 동일한 모습으로 최신의 기술적 감성은 물론, 이전보다 더욱 대담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자아낸다. 프론트 그릴의 디테일이 다소 부담스럽지만 전체적인 완성도는 충분해 보인다.

이와 함께 차체의 넉넉함을 그대로 계승하는 바디킷 역시 만족감을 더한다. 특히 견고한 이미지를 자아내는 연출이 매력을 더한다. 더불어 보닛 위에 직선적인 디테일을 더해 더욱 명료한 매력을 더한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측면은 MPV가 갖춰야 할 ‘여유’를 확실히 드러낸다. 긴 전장과 휠베이스를 그대로 활용하는 넉넉한 차체와 섬세하고 정교한 디테일들이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여기에 C 필러의 디테일 및 큼직한 창문 역시 만족스럽다. 더불어 하이브리드 사양을 위해 더해진 휠 역시 인상적이다.

끝으로 후면은 전면과 유사한 구성의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통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보다 선명히 드러낸다. 차량의 체격을 한껏 과시하는 직선적인 연출, 깔끔한 마감 등이 견실함을 자아낸다. 다만 바디킷 부분의 디테일이 다소 과장된 느낌은 내심 아쉽게 느껴졌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최신의 감성을 담은 공간

카니발 하이브리드의 실내 공간 역시 ‘최신의 기아차’에 담겨야 할 것을 충실히 담아낸 모습이다.

넉넉한 차체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대시보드 위에 큼직한 패널을 통해 디지털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배치해 만족감을 높인다. 여기에 넉넉한 스티어링 휠, 고급스러움과 공간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각종 디테일 또한 더해지며 공간의 가치를 끌어 올린다.

이외에도 센터 터널의 스마트폰 무선 충전 패드, 컵홀더 및 각종 수납 공간 등이 함께 마련되어 차량의 만족감을 더한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새로 구성된 디지털 클러스터는 주행 정보를 보다 명료히 전하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역시 다채로운 기능의 매력을 제시한다.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누릴 수 있고 ‘전동화 주행’에 대한 각종 정보 역시 명료히 전해 만족감을 더한다.

이외에도 각종 편의사양의 매력을 누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운드 시스템 등에서도 준수한 패키징을 확보, 모두의 만족을 자아낸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시승 차량의 경우 7인승 모델로 2+2+3 시트 구조를 갖췃다. 1열 공간은 넉넉한 크기의 시트는 물론이고 레그룸 및 헤드룸 모두 여유롭게 마련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격’을 가리지 않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수납 공간이 ‘공간의 가치’를 더하는 모습이다.

2열은 큼직한 두 개의 시트가 탑승자를 맞이한다. 넓은 전폭을 통해 ‘탑승의 여유’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뿐 아니라 암레스트에 자리한 패널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다룰 수 있다. 덕분에 가족은 물론 VIP를 위한 공간으로도 손색이 없는 모습이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3열은 그리 넉넉한 편은 아니다. 벤치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나 ‘여유’가 돋보이는 건 아니다. 그래도 상황에 따른 ‘활용성’은 충분하다. 더불어 3열에서도 충분히 쾌적한 시야를 누릴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적재 공간은 기존과 다름이 없다. 테일게이트 아래에는 차량의 체격을 고스란히 활용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삶의 장면에 능숙히 대응한다. 여기에 상황에 따라 시트 폴딩, 조작 등을 통해 더욱 여유롭게 ‘다양한 일상’을 구현할 수 있어 차량의 만족감을 이어간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모두를 위한 하이브리드 MPV의 등장


카니발 하이브리드의 외형과 실내 공간을 충분히 둘러본 후 본격적인 주행을 위해 도어를 열고 시트에 몸을 맡겼다. 넉넉하면서도 더욱 고급스럽게 구성된 공간, 그리고 최신의 기술 요소들이 ‘차량의 만족감’을 대폭 끌어 올린다.

관련기사



특히 카메라 기반의 룸미러는 물론이고 각종 기능들이 어우러지며 ‘국산차의 매력’을 확실히 드러낸다. 전체적인 정숙성도 우수한 편이다. 다만 그로 인해 1.6L 터보 엔진이 작동할 때에는 그 소음과 진동이 다소 크게 느껴진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보닛 아래 자리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180마력과 27.0kg.m의 1.6L 터보 엔진과 54kW의 전기 모터의 조합을 통해 245마력, 그리고 37.4kg.m의 준수한 토크를 보장한다. 절대적인 성능이 탁월한 건 아니지만 ‘일상의 주행’을 소화하기엔 부족함이 없다.

실제 엑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을 때의 차량의 움직임이나 추월 가속, 고속 주행 등 다양한 주행 환경에 능숙히 대응하며 주행의 완성도를 높인다. 다만 전기 모터의 성능이 뛰어난 편이 아니라 일부 주행 상황에서는 내심 아쉬운 부분도 있다.

특히 낮은 오르막 구간 등과 같이 ‘전기의 힘’으로 주행이 가능한 부분에서 너무나 쉽게 엔진을 작동시키는 모습이 이어졌다. 개인적으로는 전기 모터의 출력을 70~80kW까지 끌어 올려 ‘전동화 주행’ 빈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 같았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그래도 주행 상황에서 ‘엔진의 부하’가 크지 않을 때 빠르게 작동을 멈추고 전기 모터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가져가는 성향을 갖고 있어 ‘평균적인 수준’에서의 효율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리라 생각됐다.

여기에 조합을 이루 6단 자동 변속기, 전륜구동 레이아웃은 특별할 것은 없다. 변속기의 전체적인 변속 조율 능력은 물론, 주행 전반의 걸친 움직임에서 이질적이거나 불편한 부부은 없고 ‘구동계’ 역시 특별히 지적할 부분은 없었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카니발 하이브리드의 움직임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다. 실제 시승을 하는 내내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모두를 위한, 즉 패밀리카로 손색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적으로 체격이 크고 무거운 편이지만 차량을 다룸에 있어 무척 쾌적하고 부드러운 모습이며, 노면 대응 능력도 전반적으로 준수하다. 덕분에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 모두가 느끼는 승차감 및 주행 안정감이 상당히 좋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실제 노면에 대해 능숙히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줄 뿐 아니라 고속 주행을 이어가더라도 꽤나 능숙한 모습으로 주행 가치를 더한다. 더불어 정숙성 부분에 있어서도 뛰어나 이동 중 대화 등의 소통 활동 역시 어려움이 없었다.

물론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실제 순간적인 충격에 대해서는 다소 투박한 모습이다. 실제 과속방지턱, 요철 등을 지날 때 2열과 3열로 전해지는 충격량이 꽤나 큰 편이라 조금 더 ‘능숙한 조율’이 더해지면 좋을 것 같았다.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김학수 기자


한편 하이브리드 차량에게 기대하는 효율성도 충분하다. 차량의 공인 연비는 13.5km/L(복합 기준, 7인승 및 19인치, 휠타이어 기준)으로 체급 대비 우수한 편이며 시승을 하며 확인한 실 연비 역시 18.3km/L에 이르렀다.

비록 초기 비용이 일반 가솔린 사양보다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지만 세금 부분에서의 이점, 그리고 실질적인 효율성이 우수한 만큼 ‘선택의 이유’는 충분해 보였다.

좋은점: 우수한 효율성을 보장하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아쉬운점: 내심 아쉬운 전기 모터의 출력

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기아 더 뉴 카니발 하이브리드


늘어난 선택지, 강화된 카니발의 매력

카니발은 지금까지 국내 MPV 시장을 이끌고, 기준을 제시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롭게 더해진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도입은 말 그대로 ‘새로운 가능성의 확장’을 알리는 모습이다.

비록 차량 구매 단계에서의 지출, 즉 초기 비용의 부담을 커지는 건 사실이지만 운영의 영역에서의 확실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렇기에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충분한 설득력을 가진 ‘새로운 선택지’라 평가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서울경제 오토랩 김학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