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중국發 'AI 해킹·스파이' 증가…美 당국 "보안 위협 커져"

오픈AI 등 기밀유출 의혹 제기

빼돌린 개인정보 분석 징후도

"핵심인사 특정 동선까지 파악"


중국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해킹·스파이 행위를 늘려가면서 미국 정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기존 반도체 기술에 집중됐던 산업스파이 활동이 AI로 확대되는 한편 해킹으로 얻은 막대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핵심이 되는 정보만 골라낼 수 있게 된 탓이다. AI의 발달이 과거 불가능했던 수준의 정보 분석을 가능하게 해 보안 위협이 더욱 커졌다는 경고가 따른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25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연방수사국(FBI)을 비롯한 미 정보 당국이 AI를 활용한 중국의 사이버 간첩 행위를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는 “10월 크리스토퍼 레이 FBI 국장이 서방 정보기관, 정보기술(IT) 업계 인사들과 만나 중국의 AI 활용 해킹에 대한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중국의 산업스파이 공작 대상도 반도체 등 하드웨어에서 AI로 확장 중이다. 최근에는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서도 중국으로 기밀이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FBI가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레이 국장은 올 2월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AI가 중국의 해킹을 강화하는 ‘증폭기’가 될 수 있다”며 “중국이 미국의 AI 기술을 사용해 해킹 작전을 개선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점은 중국이 그간 해킹으로 빼돌린 미국인 개인정보를 AI로 분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MS) 부회장은 “지난 2년간 매우 구체적인 공격 목표를 설정하는 징후를 이미 확인했다”며 “AI를 활용한 목표 세밀화를 진행 중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다.

중국은 이미 해킹을 통해 수십억 건에 달하는 개인정보를 확보한 상태다. 미 인사관리처(OPM)의 전·현직 정부 직원과 가족 2000만 명 이상의 파일은 물론 호텔 체인 메리어트, 신용정보회사 에퀴팩스, 미 건강보험회사 엘리밴스헬스(전 앤섬) 등의 정보가 대표적이다. 유출된 데이터 중에는 연락처 등 간략한 인적 사항뿐 아니라 개인 채무 상태, 의료 기록, 지문 등 생체 정보까지 포함돼 있다.

각각의 정보 파편은 무의미해 보일지라도 AI가 이를 분석해 상관관계를 밝혀낸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손쉽게 기밀 정보 취급 권한을 지닌 미국 관료나 첩보 요원 등 핵심 인사를 특정하고 그들의 동선까지 파악할 수 있다. 글렌 거스텔 전 미 국가안보국(NSA) 법무자문위원은 “중국이 거의 모든 미국인의 건강 기록부터 신용카드 정보, 여권 번호, 가족의 세부 사항에 이르는 정보 파일을 구축하는 데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리콘밸리=윤민혁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