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이어트에 좋다던 수세미오이, 이런 효능도?[헬시타임]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연구팀

수세미오이 말린 한약재 ‘사과락’ 실험

근육 형성 촉진·근위축 방지 효과 첫 확인

한약재 ‘사과락’과 원료인 수세미오이.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한약재 ‘사과락’과 원료인 수세미오이.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




박과식물인 수세미오이는 수분과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해소와 다이어트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수세미오이를 말린 한약재가 노인에게 흔한 근감소증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창환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한약재인 ‘사과락’의 근육 형성 촉진 및 근위축 방지 효과와 관련 기전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사과락은 박과의 수세미오이 열매에서 씨앗과 껍질을 제거해 말린 한약재다. 발열, 출혈, 염증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사과락에 함유된 페놀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단백질 합성과 근육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근위축증 치료제로서 활용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 쥐로부터 분리한 근육조직에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인 덱사메타손을 고용량 처리해 근위축을 유도한 뒤 사과락 추출물을 100, 200, 400μg/㎖ 농도로 나눠 처리했다. 그 결과 사과락의 농도가 높을수록 근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사과락은 근세포의 생존율을 높여 세포증신을 촉진했고, 덱사메타손에 의한 근세포 사멸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근육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근섬유를 형성하는 세포인 근관세포(Myotube)의 크기와 수가 사과락의 농도에 비례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사과락 농도가 높을수록 근관세포의 크기와 수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는 모습.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사과락 농도가 높을수록 근관세포의 크기와 수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는 모습. 사진 제공=자생한방병원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사과락 추출물 농도가 가장 높은 400μg/㎖ 처리군은 근관세포의 평균 형성 정도가 미처리 군에 비해 2배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락이 근육의 형성 및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덱사메타손 처리가 이뤄진 실험에서는 사과락이 근위축 유도 단백질 ‘아트로진-1(Atrogin-1)’과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 수치를 유의하게 억제하고, 줄어든 근관세포의 크기와 수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과락 400μg/㎖ 처리군은 덱사메타손 처리군에 비해 근관세포를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과락이 근위축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줄어들고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 위험은 증가한다. 퇴행성 디스크, 골관절염 등 근골격계 질환자가 근감소증을 겪으면 약해진 근육이 뼈와 관절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해 일반 환자보다 사망률이 더 높다는 통계도 있다. 실제 국내 한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근감소증이 있는 65세 이상 남성은 일반 남성보다 사망률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와 함께 근골격의 퇴행을 겪는 시니어들은 근감소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주요 치료제인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은 장기간·고용량 복용 시 근육을 위축시켜 근감소를 일으킨다는 위험성이 보고된 바 있다.

해당 논문의 제1 저자인 여창환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사과락의 근위축 보호 효과를 입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과락의 효능이 향후 부작용 없는 근위축 및 근감소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