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화문광장·명동·해운대도 ‘한국판 타임스 스퀘어’로

제2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지정

유동인구 많고 광장·관광지 상징적 공간

교보빌딩, KT 등에 2026년까지 1단계 설치

디지털 기술과 옥외광고 결합해 세계적 도시로

광화문 조감도광화문 조감도




#2027년 서울 광화문 광장을 찾은 관광객 A씨는 광화문 모바일 앱을 설치했다. 셀피(selfie)를 촬영하고 광장 주변에 설치된 여러 대형 전광판 중 하나를 지정하니 내가 찍은 사진이 그대로 나타났다. 광화문 수문장 교대의식과 같은 문화예술 행사가 열릴 때는 관련 영상이 전체 전광판을 통해 동시에 송출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광장에 있던 여러 시민들과 함께 대형 전광판을 통해 줄다리기와 같은 캐주얼 게임도 했다.



서울 중구 명동관광특구, 종로구 광화문광장,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해수욕장 일대가 미국의 타임스스퀘어처럼 다채로운 옥외광고물이 자유롭게 설치된 지역 명소로 탈바꿈한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제2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으로 이들 3개 지역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자유표시구역은 광고물의 모양, 크기, 색깔, 설치 방법 등 옥외광고물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지역이다. 해외에서는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영국 런던 피카딜리서커스, 일본 오사카의 도톤보리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에 서울 강남 코엑스 일대가 유일하게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으로 지정돼 기존 과 크기와 형태가 다른 20기의 다양한 디지털 옥외광고물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명동 조감도명동 조감도




이번에 선정된 3개 지역은 모두 유동인구가 많고 광장, 관광지와 같은 상징적 공간들이 위치하고 있어 광고물 설치효과가 높다. 광화문광장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상징적인 공간으로 디지털 옥외광고물과 문화유산이 융합돼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고물 설치는 2029년까지 6년에 걸쳐 2단계로 진행되고 1단계 사업으로 2026년까지 교보빌딩, KT, 일민미술관 등 광화문사거리 주변에 광고물을 우선 설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명동관광특구는 하루 평균 유동인구가 40만 명이 넘는다. 광고물 설치는 2033년까지 총 10년에 걸쳐 3단계로 진행되고 1단계 사업으로 2025년까지 하나은행, 영플라자, 명동예술극장, 신세계백화점 등 4개 주요 거점장소와 내부 이면도로인 명동길 주변에 광고물을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해운대해수욕장은 대표적인 관광지역으로 많은 유동인구를 바탕으로 참여형 광고 등 다양한 시도를 펼칠 수 있는 지역으로 기대된다. 또 수도권 이외 지역에 지정되는 최초 사례로 제도 확산과 지역 명소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고물 설치는 2026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해운대 조감도해운대 조감도


한국지방재정공제회 한국옥외광고센터에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제1기 자유표시구역 지정 이후 5년간(2018~2022년) 광고물 표시규제 완화 등 특례 13건 적용, 광고 매출액 1577억원 발생, 공익광고 평균 44% 송출(4400회) 등 다양한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정부는 자유표시구역 지정 취지에 적합하게 운영되지 않을 경우에는 옥외광고물법에 따라 지정을 취소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차관은 “한국의 뛰어난 디지털 기술과 옥외광고를 결합해 향후 디지털 옥외광고 산업의 도약은 물론 세계적인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며 “자유표시구역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과 추진의지가 높은 만큼 1기와 2기 지역에 대한 운영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후 추가 자유표시구역 지정도 이른 시일내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