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역대급 ETF '풍년'…1년새 순자산 42조 ‘껑충’

78→121조…상품 개수 666→812개 폭증

금리·채권형 성장이 일등공신…쏠림 확대

성장 가속화 전망…테마형 ETF 상장 증가할 듯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올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순자산 규모가 120조 원대로 올라서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한 때 펀드시장을 지배하던 공모펀드가 16년 만에 순자산 100조 원 아래로 붕괴한 것과 대조적인 흐름이다.



금융투자 업계 전문가들은 내년 금리인하가 본격화되며 성장주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테마형 ETF를 중심으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8일 기준 ETF 순자산 총액은 121조 1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78조 5000억 원) 대비 42조 가량 증가했다. 증가폭으로 따지면 역대급 호황장이었던 지난 2021년(21조 원)의 두 배 가량 늘어난 셈이다. 상품 개수 역시 지난해 말 666개에서 812개로 146개(21.9%) 증가했다.



2002년 3552억 원으로 출발한 ETF 시장은 2011년 순자산 10조 원을 돌파한 후 2019년 50조 원을 넘어설 때까지 8년이 걸렸다. 이후 급격하게 몸집을 불리며 올 들어서 100조 원과 120조 원을 연달아 돌파하며 파죽지세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올해 ETF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요인은 채권형·금리형 ETF의 성장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대기성 자금을 일시적으로 파킹하기 위한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금리형은 CD금리나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등 3개월 미만의 단기 금리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기준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이상 손실 위험이 없고 매일 이자수익을 지급한다. 고금리 환경이 본격화한 지난해부터 수익률이 연 4% 수준까지 올라 매력적 투자처로 떠오르며 현재 국내 ETF 순자산 규모 1·2위(TIGER CD금리 투자 KIS(합성)·KODEX CD금리액티브(합성))를 모두 꿰차고 있다.

채권형 역시 4% 이상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해 불안한 주식 시장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연초부터 장기채권형 ETF에도 꾸준히 자금이 들어왔다. 채권형 ETF 순자산은 지난해 말 13조 원대에서 1년 새 26조 원대로 2배 가량 증가했다.

이밖에도 공모펀드 대비 저렴한 보수와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는 편리한 거래 방식은 일반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자산운용이 전체 순자산의 80% 가량을 차지하며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신한과 KB, 한화자산운용 등 중소형사들을 중심으로 특색있는 상품으로 빠르게 치고 올라온 점도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는 평가다.

다만 ETF의 급격한 성장은 곧 공모펀드 시장의 침체로 이어졌다. 한 때 펀드시장의 대표주자였던 국내 공모펀드 수탁액(설정액 기준)은 올 3월 16년 만에 100조 원이 붕괴된 후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8일 현재 96조 936억 원까지 쪼그라들었다.

금융투자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ETF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금리인하 기조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고금리 수준이라 채권·금리형 상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는데다 성장주에 대한 기대감에 관련 상품들이 다양하게 등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정책 완화 기대감도 크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ETF 시장은 외형과 시장의 질이 함께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내년에는 통화정책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인식 하에 성장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테마형 ETF들의 상장 증가 추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소수점 배율 허용, 액티브 ETF 상관계수 요건 완화 등 다양한 정책 변화도 ETF 시장 진화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이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