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민진당 집권, 野 단일화 실패가 결정적…中 '무력 위협'도 반작용

허우·커 표 합치면 라이보다 많아

中, 선거 내내 압박…가짜뉴스도 영향




13일(현지 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선거 결과를 보며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AP연합뉴스13일(현지 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선거 결과를 보며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제16대 대만 총통 선거에서 집권 민주진보당의 라이칭더 후보가 승리한 데는 야당의 단일화 무산과 중국의 강경 대응이 크게 작용했다.



승리의 가장 결정적 요인으로는 지난해 11월 야권이 승부수로 띄웠던 야권 후보 단일화 합의 무산이 꼽힌다. 당시 친중 제1야당 국민당의 허우유이 후보와 중도 제2야당 민중당의 커원저 후보는 총통 후보를 단일화하기로 합의했다. 여러 여론조사에서 누가 총통 후보가 되더라도 민진당의 라이 후보에게 앞선다는 결과가 나온 데 따른 것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누가 총통 후보가 돼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여론조사 조건 등 세부 사항을 놓고 이견이 불거졌고 끝내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단일화 합의는 없던 일이 됐다. 최종 개표 결과 라이 후보와 허우 후보 간 표 차이는 100만 표가 안 됐지만 커 후보가 360만 표 넘게 얻었다는 점에서 두 당은 집권할 기회를 스스로 차버린 셈이다. 허우 후보와 커 후보가 선거에서 얻은 표는 약 830만 표로 라이 후보(약 560만 표)보다 270만 표가량 많았다.

또 하나의 패배 요인은 선거 기간 내내 친중 후보 당선을 위한 중국 당국의 군사적 위협과 경제적 압박이다. 라이 후보를 겨냥한 가짜뉴스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강경 조치가 오히려 대만 유권자들의 반발을 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당의 마잉주 전 대만 총통은 선거 사흘 전인 10일 해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믿어야 한다고 발언해 논란을 자초했다. 이 발언은 민진당을 지지하지는 않더라도 중국 압박을 경계하는 중도층 유권자들을 자극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선거 이틀 전 허우 후보가 직접 브리핑을 갖고 “당선되면 임기 중에 통일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며 진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친시진핑’ 발언이 중도 표심을 자극했을 가능성이 크다.

민진당은 선거 막바지로 갈수록 중국의 압박을 대만의 민주주의와 대비시키면서 표심에 호소했고 이 전략이 결국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