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동빈 "바이오·수소 등 신성장동력 집중…부진 사업은 매각"

■日 요미우리신문 인터뷰

4개 분야에 그룹 역량 집중 방침

"인재 유동성에서 큰 차이 있어"

신사업 위해 전문인재 적극 영입

경영권 분쟁 질문엔 "해결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롯데지주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롯데지주




신동빈(사진) 롯데그룹 회장이 바이오테크를 비롯한 4개 분야의 신성장 동력을 제시하며 이를 위해 부진한 사업을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일본 롯데 대비 한국 롯데에서 활발한 사업 확장에 나서며 20배 이상 높은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높은 인재 유동성’을 꼽았다.



신 회장은 30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의 상장과 백화점 부문의 인접 영역인 편의점·주류 사업 매수 등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크고 작은 회사 60곳 정도를 인수했지만 지금은 매각도 일부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몇 년을 해도 잘 안 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타사에 부탁하는 것이 직원들에게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사업) 몇 개를 매각해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관련기사



부진한 사업군을 정리하는 대신 신성장 동력에 그룹의 역량을 모으겠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신 회장은 “바이오테크놀로지와 메타버스, 수소에너지, 2차전지 소재 등 장래에 성장할 것 같은 사업으로 교체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일 양국의 사업 환경 차이로는 ‘인재의 유동성’을 꼽았다. 그는 “일본에서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하겠다’고 말해도 타사에서 에이스급 인재를 데려오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한국에서는 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일본 롯데의 경우 초콜릿이나 껌 같은 제과 기업 이미지가 강하고 매출이 4000억 엔(약 3조 6000억 원) 규모에 그치지만 한국에서는 식품은 물론 호텔·백화점·건설·화학·렌털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면서 “한국에서의 매출 규모도 8조 6000억 엔(약 77조 6000억 원)”이라고 전했다. 전문성을 갖춘 인재의 영입이 한국과 일본에서의 성장 차이로 이어졌다는 얘기다. 롯데그룹은 2020년 이후 외부 출신 전문 인사를 잇따라 영입하며 순혈주의를 타파하는 등 다양한 시도에 나서고 있다.

신 회장은 2016년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롯데 보복과 형제 간 경영권 다툼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국에 백화점과 슈퍼마켓, 음료와 제과 등 공장이 있었지만 한국 정부 요청으로 주한미군에 용지를 제공한 뒤 (중국에서) 철수했다”며 “해외 사업은 아시아 신흥국 중심으로 해왔지만 앞으로는 지정학적 문제를 포함해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형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의 사이에서 벌어진 경영권 분쟁을 두고는 “해결했다”고 짧게 답했다.

신 회장은 “퍼블릭 컴퍼니(Public Company·상장기업)로서 확실히 해나가고 싶다”며 “롯데를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