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M&A 블루칩' 떠오른 바이오…①자금조달 난항에 창업주 은퇴 맞물려 '저가매수 기회'

②동종서 이종결합까지 다각화…바이오업계 선순환 기대

③대기업의 확고한 투자의지·인내심 뒷받침돼야 '성공'





올 들어 국내 바이오 기업이 대기업의 인수합병(M&A)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자금 조달을 위해 기술수출과 기업공개(IPO)에만 의존했던 국내 바이오 생태계가 한 단계 성장할 것이란 기대감도 있지만 아직 마땅한 성공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우려 섞인 시선도 존재한다. 바이오 업계 전문가들은 대기업의 투자가 성공을 거두려면 무엇보다 신약 개발의 특성을 고려한 인내심이 필수라고 입을 모은다.



5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산업의 2022년 전체 매출 규모는 23조 4657억 원이었다. 글로벌 제약사 20위권인 바이오앤텍 1개사의 같은 해 매출 182억 달러(약 24조 3000억 원)와 유사한 수준이다. 국내 바이오 산업이 2018년부터 매년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과 비교하면 여전히 영세하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관련기사



신약 개발에 수천 억에서 조 단위 비용이 드는 바이오 산업의 특성상 대형화를 통한 위험 분산은 필수적이다. 연초 OCI(456040)그룹의 한미약품(128940) 합병, 오리온(271560)그룹의 레고켐바이오(141080)사이언스(레고켐바이오) 인수 발표를 두고 바이오 업계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계기가 마련됐다”고 기대감을 내비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한미약품 측은 OCI와의 통합과 관련해 “글로벌 임상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력을 갖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빅파마와 기술수출을 하더라도 자체 자금력은 협상의 주도권을 좌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 바이오 기업 M&A는 화학 또는 식품 대기업의 ‘이종 결합’이라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해외에는 성공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바이엘은 1863년 화학 염료 기업으로 출발했으나 수차례 M&A를 거쳐 2022년 기준 매출의 50.1%를 제약 사업에서 올리는 생명공학 기업으로 성장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뉴질랜드 분유 회사가 글로벌 빅파마로 발돋움한 사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대기업이 바이오 산업에 진출했다가 사업을 매각하거나 철수한 경우가 많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단기간에 사업에서 승부를 보던 대기업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실패 확률도 높은 신약 개발 사업을 인내할 수 있는지가 성공의 핵심”이라며 “이러한 선순환이 정착되면 M&A가 더 활성화하고 IPO에 의존하는 왜곡된 생태계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