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SK하이닉스, 재활용소재 비율 2030년까지 30%로 확 높인다

반도체 업계 최초 로드맵 구축

구리·주석 등 금속소재부터 전환





SK하이닉스(000660)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 최초로 재활용, 재생 가능 소재를 제품 생산에 활용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발표했다.



재활용 소재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또는 사용 후 폐기된 제품에서 추출·회수·재가공한 소재다. 재생 가능 소재는 목재처럼 자연에서 나서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재생 가능한 소재를 뜻한다.

관련기사



SK하이닉스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회사가 생산하는 제품에서 재활용 소재가 사용되는 비율을 중량 기준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는 3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회사는 반도체 생산에 들어가는 필수 소재인 구리·주석·금 등 일부 금속 소재부터 재활용 소재로 전환한다.

금속 소재는 메모리반도체 완제품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다른 소재로 대체하기도 어려워 재활용 시 자원 순환 측면에서 효과가 크다는 판단이다. 또한 회사는 반도체 완성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라스틱 포장재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교체한다.

SK하이닉스는 로드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 체제도 정비했다. 회사가 직접 구매하는 재활용 소재에 대해 인증 절차와 품질 평가를 강화한다. 협력사가 납품하는 부품 소재에 대해서도 품질 평가서를 제공 받아 적용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국제표준화기구(ISO) 14021 등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의 재활용 소재 사용 비율 검증 및 인증에 협력사들도 동참하도록 소통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협력사에 대한 충분한 지원도 계획하고 있다.

송준호 SK하이닉스 선행품질·분석 담당(부사장)은 “발표한 로드맵을 실천하면서 고객과 협력사 등 반도체 공급망 내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힘을 합쳐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