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저출생 개선을 위한 통계를 확대하는 한편 이민정책 뒷받침 차원에서 외국인 인구전망을 내놓기로 했다. 인구 다양성을 대비한 통계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으로 장래가구추계에도 내·외국인 인구와 이주배경인구가 포함될 예정이다.
통계청은 앞서 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4년 통계청 주요업무추진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다문화 가족, 외국인, 1인 가구 등 정책 지원을 위한 내·외국인 인구전망을 4월, 장래가구추계는 9월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내국인으로는 경제활동인구의 한계가 분명한 상황에서 외국인의 특성을 알아야 이민정책을 포함한 관련 정책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이민자 이해를 위해 체류자격별 실태정보도 세분화해 12월 통계포털에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중인 ‘역동경제’의 일환으로 사회이동성 분석도 강화된다. 통계청은 등록센서스와 국세청 소득 자료를 결합해, 성·연령·시도별 소득분위의 이동확률을 연말께 작성해 제공하기로 했다. 특히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인구특성별, 지역별 소득이동 추이를 패널데이터 형태로 조사한다. 통계청이 특정된 조사군을 추적관찰하는 패널데이터 조사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제 구조적 변화를 반영한 경제통계 개발에도 나선다. 특히 기업수출과 경제활력을 높일 수 있는 경제통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 청장은 “해외지역의 소비자, 수요층 인구특성 및 공장의 인프라 등을 수출기업 대표들이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변동을 포착할 수 있는 경제동향 통계 역시 개선한다. △무역통계 △전력사용량 △자동차 판대대수 등 정책 대응 지원을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월간 속보성 종합지표 작성을 시작했다. 무엇보다 민간소비의 서비스 비중이 증가하면서 기존 재화 위주의 소비로 나타나는 소매판매지수에서 서비스 소비까지 확장하는 방법을 찾아 공표할 방침이다.
서민생활 지원을 위한 통계 확충에도 나선다. 국민 체감과 직결되는 물가의 경우 정확성 제고를 위해 행정자료를 활용한 주거비지수를 개발하고, 자가주거비지수를 주지표로 전환할 준비에 들어갈 예정이다. 연내 작성방안을 마련해 내년부터 병행 조사에 착수, 2026년부터 지수 공표 및 주지표 전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청장은 “2024년 통계청은 수요자가 체감하는 통계로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고 국민과 기업의 미래 설계를 지원하는 한편, 국가 통계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상반기 기업경영활동 지원을 위한 데이터를 확충하고 하반기에는 소득이동 통계 개발과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