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산후조리원 가격이 고공 행진하는 와중에도 가격대가 그 절반 수준인 공공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전체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조한 이용률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열에 아홉이 공공 산후조리원의 존재를 몰랐다고 답할 정도로 부족한 인식이 꼽혔다.
14일 서울경제신문의 ‘산후조리원 이용 실태’ 심층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01명 중 공공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고 답변한 사람은 딱 한 명뿐이었다. 민간 산후조리원 이용자 100명 중 절반(50%)이 이용 의사가 있었다고 답했지만 실제 이용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공공 산후조리원 이용률이 저조한 가장 큰 이유로는 인식 부족이 지목됐다. 현재 전국에서 총 18개가 운영되고 있는데 절대적인 숫자 자체도 적을뿐더러 홍보가 미흡한 탓에 공공 산후조리원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공공 산후조리원 이용을 고려한 적이 없다고 답변한 응답자 50명 중 47명(66.2%·복수 선택 가능)이 공공 운영 조리원이 있는지조차 알지 못해 선택지에 넣지 않았다고 밝혔다. 두 번째로 답변이 많았던 서비스 질에 대한 불신(34명·47.9%)은 물론 과도한 대기(18명·25.4%), 접근성 부족(15명·21.1%) 등에 비해 답변 수가 훨씬 많았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심 모(37) 씨는 “민간 산후조리원에 500만 원 가까운 금액을 지불하면서도 시세 자체가 워낙 높다 보니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며 돈을 지불했다”며 “공공 산후조리원이라는 게 있는 줄 알았다면 이용할 의향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고 밝힌 1명은 “가격 대비 서비스와 시설이 우수해 만족했다”며 만족도를 5점 만점에 5점으로 매우 높게 평가했다. 이 응답자는 2주 기준 200만 원을 지불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민간 평균 가격(322만 원)의 60% 수준이다.
그는 “고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해야 제대로 산후조리를 받을 수 있다는 인식 자체가 과도한 소비의 근원”이라며 “산후조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결과적으로 가계경제에 큰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만큼 이 같은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돼야 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