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사과 2개에 2만7800원짜리도 등장…그런데 더 비싸진다

농촌경제연구원 "2033년까지 축구장 4000개 사과밭 감소 전망"

서초구 소재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피치 애플. 2개들이 한 팩이 2만7800원이다.서초구 소재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피치 애플. 2개들이 한 팩이 2만7800원이다.




지난해 사과 생산이 30% 급감하면서 가격이 치솟아 ‘금사과’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가운데 2033년까지 사과 재배 면적이 8.6%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처럼 재배 면적이 줄어들면 생산이 줄어 가격이 더욱 인상될 수 있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 전망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사과 재배면적은 작년과 비슷한 3만3800㏊에서 2033년 3만900ha로 연평균 1%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초구 소재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과(1개에 9800원).서초구 소재 백화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과(1개에 9800원).


서초구 소재 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과.서초구 소재 대형마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과.


이는 2033년까지 9년 동안 사과 재배면적 2900㏊(8.6%)가 줄어드는 것으로 축구장(0.714㏊) 4000개가 사라지는 셈이다.



특히 성목(다 자란 나무) 면적은 품종 갱신, 노령화에 따른 폐원, 타 품목 전환 등으로 지난해 2만4천700㏊에서 2033년 2만2800㏊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목(어린 나무) 면적은 8000㏊ 수준으로 1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재배 면적 감소 탓에 사과 생산량은 올해 50만2000t에서 2033년 48만5000t 내외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했다.

점진적인 생산량 감소로 1인당 사과(후지 상품) 소비량은 올해 9.7㎏에서 2033년 9.5㎏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사과 생산량은 기상 여건 악화로 전년 대비 30% 감소한 39만4000t이었다. 봄철 저온 피해(냉해, 서리 등)로 착과(열매가 달리는 것) 수가 줄었으며 여름철 잦은 강우와 집중호우로 낙과가 증가했다. 또한 수확기에는 탄저병·겹무늬썩음병 등 발생이 늘었다.

지난해 생산 감소 탓에 '금사과'라 불릴 만큼 사과 가격이 뛰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사과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달 29일 기준 10개에 2만9088원으로 1년 전(2만2784원)보다 29.3% 비싸다.

요즘 마트에서 상품에 따라 사과 하나 가격이 무려 1만3900원짜리도 등장했다. 피치 애플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데 엔부사과 혹은 ‘속 빨간 사과’로도 불린다.

한편 사과와 배 등 과일 가격이 고공행진을 거듭하자 농림축산식품부는 대형 마트와 함께 비정형과(못난이 과일) 사과·배 판매 촉진에 나섰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