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이재명, 종로서 '盧사위' 첫 지원 유세…"尹정권 심판"[영상]

'정치 1번지' 상징성·'노무현 정통성' 고려

공천 내홍 속 전열 정비…"힘 합치자" 강조

"입법권까지 넘겨주면 안돼" 심판론 부각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종로구 곽상언 후보와 창신시장을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종로구 곽상언 후보와 창신시장을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정치 1번지’ 서울 종로에서 4·10 총선 지원유세의 시동을 걸었다. 공천 내홍이 여전한 가운데 이 대표는 종로 지역구 후보자인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 곽상언 변호사 지원사격을 통해 단결을 강조했다. 지지자들을 향해선 “윤석열 정권을 반드시 심판하자”고 외치며 총선 대비 민생·현장 행보를 본격화한 모습이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곽상언 후보 선거사무소에 방문한 뒤 창신시장을 찾았다. 총선 국면에서 이 대표의 첫 격전지 지원 방문으로, 정치 1번지라는 상징성을 고려해 종로에서 본격적인 ‘총선 모드’ 전환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곽 변호사 선거사무소를 찾아 “존경하는 노 전 대통령의 꿈인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 사람 사는 세상과 제가 꿈꾸는 억강부약의 함께 사는 세상, 대동 세상을 종로에서 곽 후보가 반드시 이뤄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표가 곽 변호사 지원을 통해 당의 정통성과 통합을 강조함으로써 전열 정비를 꾀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공천 ‘컷오프(공천 배제)’에 반발하며 거취를 고민해온 친문계 핵심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잔류 결정을 내리며 공천 내홍이 잦아드는 모양새가 형성되자 이 대표가 친노·친문에게 화해의 손짓을 보낸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실제 이 대표의 종로 일정은 임 전 실장이 페이스북에 입장을 밝힌 지 한 시간가량 뒤에 공지됐다. 이 대표는 곽 변호사 선거사무소에서 “힘을 합치자. 온갖 희한한 소리가 난무해도 우리는 한발짝씩 앞으로 나아간다”면서 “앞으로도 잠시의 흔들림이 있을지는 몰라도 전진할 것”이라며 단결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종로구 곽상언 후보가 4일 창신시장에서 상인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종로구 곽상언 후보가 4일 창신시장에서 상인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표는 이어 곽 변호사, 노 전 대통령의 딸 노정연씨와 함께 창신시장을 돌면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이 대표는 “무도한 윤석열 정권 심판할 준비 되셨나. 반드시 심판하자”, “경제에 관심 없는 윤석열 정권에 회초리를 칠 수 있게 해달라”며 ‘정권 심판론’을 부각했다. 시장은 이 대표를 보기 위해 몰려든 지지자들로 인해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 대표는 족발집과 약국, 갈빗집 등 시장 곳곳을 돌며 상인들에게 “곽상언을 잘 부탁한다”고 했다. 중간에 멈춰서 지지자들과 ‘셀카’를 찍기도 했다.

30분가량 시장을 둘러본 이 대표는 지지자들 앞에 서서 “우리 민주당이 많은 기대에 부족하다. 조금 더 노력하겠다”고 반성문을 썼다. 이 대표는 “그러나 윤석열 정권에게 국회 입법권까지 넘겨주면 지금도 이 모양인데 국가 제도, 법, 시스템을 다 뜯어고쳐 다시 회복할 수 없는 나락으로 이 나라를 떨어뜨릴 것”이라며 “그대로 방치할 것이냐. 종로에서부터 바꿔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상태가 계속돼도 상관없다면 다시 찍고 이대로는 못 살겠다고 생각되면 심판의 표를 던져 쓴맛을 보여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곽 후보는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에 단수공천됐다. 곽 후보는 총선 본선에서 현역 최재형 국민의힘 의원과 개혁신당 소속 금태섭 전 의원과 겨루게 된다. 민주당은 이날까지 전국 선거구 254개 중 237개 지역에 대한 공천 방식을 마무리 지었고, 이중 172곳의 후보를 확정했다.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종로구 곽상언 후보와 창신시장에서 족발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종로구 곽상언 후보와 창신시장에서 족발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