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짜리 아이를 둔 맞벌이 엄마 김모(서울 거주)씨는 구청에서 아이돌봄 서비스를 신청했다. 야근과 출장이 낮아 종일제 서비스를 모두 알아봤지만 몇 개월 대기해야 도우미를 구할 수 있고 그나마 36개월 아이까지만 정부 지원이 된다는 소식에 포기하고 말했다. 김씨는 “대기하다가 36개월을 넘길 판”이라고 호소했다. 결국 민간업체를 통해 도우미를 알아봤지만 비용이 월 350~400만원에 달한다는 얘기에 이도저도 못하고 있다.
여성 경제활동 확대와 노인 인구의 증가로 돌봄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폭발하고 있지만 가사·육아도우미 종사자 수는 급감하고 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가사·육아도우미 종사자 수는 2014년 22만6000여명에서 2023년 11만5000여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가사도우미 서비스 비용이 폭증하는 것을 넘어 도우미를 구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지경이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아이돌봄 서비스는 정작 부모들이 필요할 때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서울시에 따르면 아이돌봄서비스 평균 대기기간은 1주에서 3개월에 달한다. 이마저 소득요건(중위소득 150% 이내)과 아이 나이(시간제 3개월~12세 이하, 종일제 3개월~36개월)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부모는 민간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종일돌봄 서비스 비용은 월 350만원에서 400만원에 달해 웬만한 중산층 맞벌이 가정도 한쪽 배우자의 소득을 고스란히 쏟아부어야 할 정도다. 결국 돌봄서비스 수요에 맞추기 위해서는 홍콩·싱가포르처럼 외국인 가사도우미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현철 홍콩과기대 교수는 “한국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빅 푸시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며 “외국인 가사도우미는 양육 부담을 덜수 있는 또 하나의 선택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저출생 대책이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