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기업들, 코로나 이후 비용압력에 가격 자주 올리며 대응해"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서 밝혀

"한 번에 가격 조정폭 대폭 늘리거나 줄이지는 않아"

한국은행 전경. 사진제공=한은한국은행 전경. 사진제공=한은






국내 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격을 자주 인상하며 비용압력에 대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들은 다만, 한 번에 가격 조정폭을 대폭 늘리거나 줄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한국은행은 11일 이 같은 내용의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은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격조정 빈도는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할인 등 일시적 이벤트를 제외한 채 실제 인상·인하가 이뤄진 횟수를 말한다.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은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린 반면에 팬데믹 이후에는 1년에 두 번가량 올렸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전후 인상 빈도의 증가율이 높은 생필품은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의 비중이 커 비용 압력을 많이 받은 품목들이었다. 다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한은은 또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비용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된다고 밝혔다. 한은의 분석 결과, 유가 상승 등 충격의 크기가 클수록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 인상 빈도가 커지며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수준(2%)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다”며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