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조지프 나이 “中 최악 실수는 '도광양회' 폐기”

SCMP 인터뷰서 '호전적 외교' 비판

"中, 미국 따라잡을 가능성 적어"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 연합뉴스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소프트 파워 이론’을 주창한 미국의 저명한 정치학자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중국이 ‘힘을 숨기는’ 외교정책을 성급하게 폐기하고 호전적인 노선을 채택한 것이 최악의 결정이었다고 평가했다.



나이 교수는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인터뷰에서 ‘지난 10년 동안 미국에 대한 중국의 최고·최악의 정책은 무엇이었나’라는 질문에 “중국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쇠퇴하고 있다고 본 생각과 덩샤오핑의 외교정책을 폐기하면서 더 호전적인 외교정책으로 대체한 것이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다. 그는 “몇몇 사람은 그것을 ‘전랑(늑대 전사) 외교’라고 부르던데 나는 나쁜 결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나이 교수가 언급한 덩샤오핑의 외교정책은 1980년대부터 강조된 ‘도광양회(韜光養晦·능력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인내하며 때를 기다린다)’ 노선을 가리킨다.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에 도전하지 않으면서 대외 개방에 초점을 맞춰 우선 경제적 역량을 비축하자는 것이다.

나이 교수는 “덩샤오핑 정책을 폐기하기 전에 중국은 다른 사람들을 겁주지 않았고 매력적이었으니 소프트 파워에 좋았다”며 “그런데 늑대 전사가 돼 자기 주장을 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을 겁주고 소프트 파워도 잃게 된다”고 비판했다.

나이 교수는 또 중국이 미국을 경제적으로 따라잡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봤다. 그는 “중국은 경제적으로 매우 잘해왔다는 점을 충분히 인정받아야 하지만 현재는 ‘중간 소득 함정’이라 불리는 다른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인구·노동력 감소와 생산성 감소, 민간기업이 아닌 국유기업 장려 등 현재 중국의 추세가 과거 같은 고성장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일부 학자는 중국 경제가 특정 시점에 미국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예측했지만 내가 들은 바로 그것은 가능성 낮은 시나리오”라고 덧붙였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