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 마크로젠, 아시아 최대 규모 송도글로벌지놈센터 착공

2025년 하반기 완공 목표…아시아 최대 규모 유전체 빅데이터 허브 구축

유전체 분석시설 입주로 다변화된 바이오클러스터 산업구조 고도화 기대

정밀의학 기반 콘텐츠와 솔루션으로 유전체 빅데이터의 아시아 허브 역할

마크로젠 송도글로벌지놈센터 조감도. 자료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마크로젠 송도글로벌지놈센터 조감도. 자료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 송도국제도시 바이오클러스터가 대기업 위주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서 다변화된 산업 생태계로 구축될 전망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4일 송도국제도시 5공구 첨단산업클러스터에서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 마크로젠의 송도글로벌지놈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착공식에는 변주영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과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 김창훈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이번 착공식으로 마크로젠은 2025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유전체 빅데이터 허브 구축에 착수한다. 송도글로벌지놈센터는 송도국제도시 5공구 첨단산업클러스터(B) Ks10-1필지(송도동 210-2번지)에 연면적 약 1만8000㎡, 지하 2층, 지상 8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마크로젠 지놈센터가 송도 글로벌지놈센터로 확장 이전돼 통합 운영된다.

센터는 유전체 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해 헬스케어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유전체 빅데이터 허브 기능을 담당할 예정이다.

지난 1997년 설립된 마크로젠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분야 국내 1위, 세계 5위의 역량을 갖고 있는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이다. 153개국, 1만8000여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50%에 달한다. 특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김창훈 마크로젠 대표는 “송도글로벌지놈센터의 착공은 마크로젠이 세계적인 디지털 헬스케어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유전체 빅데이터와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인별 정밀의학 실현에 기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마크로젠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1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규제특례 1호 기업으로 송도국제도시에서 유전자 검사 실증특례 연구를 진행했다. 규제샌드박스는 송도국제도시 생활권자 2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민간 기업에 직접 유전자 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개인 유전자 분석 검사 실증 연구다.


인천=안재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