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일 함께 해법 찾자”…무협, 日 경제단체와 ‘경제·통상 리스크’ 대응 맞손

日 3대 단체 경제동우회와 첫 간담회

美 대선·공급망 우려·AI 규제 등 논의

지속 대화 의지…“양국 머리 맞대야”

김남정(왼쪽부터) 동원그룹 회장, 다마츠카 겐이치 롯데홀딩스 대표,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미케 카네츠구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 대표는 한국무역협회가 '제1차 한일교류특별위원회-일본 경제동우회 간담회' 직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무협김남정(왼쪽부터) 동원그룹 회장, 다마츠카 겐이치 롯데홀딩스 대표,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미케 카네츠구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 대표는 한국무역협회가 '제1차 한일교류특별위원회-일본 경제동우회 간담회' 직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무협





한국무역협회(무협)가 일본 3대 경제단체인 경제동우회와 첫 간담회를 가지고 저출산 고령화, 공급망 위기, 중동 리스크 등 산적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관련기사



무협은 일본 도쿄 ANA 인터컨티넨털호텔에서 ‘제1차 한일교류특별위원회-일본경제동우회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행사는 올해 2월 발족한 무협 한일교류특별위원회와 경제동우회의 첫 번째 간담회로 한일 기업 간 지속적인 교류 채널을 구축하는 것과 함께 글로벌 현안에 대한 협력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 등 대일 사업 비중이 큰 한국 기업 대표 12명과 다마츠카 겐이치 롯데홀딩스 대표이사 등 일본 측 위원 10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미국 대선에 따른 통상 정책 변화 가능성, 기후변화·지진 등 자연재해에 따른 공급망 붕괴 우려 등에 대한 위원 간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특히 최근 국제적인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산업 규제에 대해서도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한일 양국 위원들은 산업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동의했지만 아직 관련 가이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은 만큼 글로벌 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양 국 기업 간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한일 기업인들은 저출산 고령화, 공급망 위기, 중동 리스크, 주요국 선거로 인한 불확실성 등 대내외적으로 공통 난제를 맞닥뜨리고 있다”며 “양국 기업인들이 머리를 모아 함께 고민하며 해법의 실마리를 찾길 바란다”고 밝혔다. 다마츠카 겐이치 롯데홀딩스 대표는 “무역협회의 한일교류특별위원회 발족을 통해 한·일 기업 간 연속성 있는 소통 채널이 생긴 점은 고무적”이라며 “양국 기업인들의 만남을 통해 각 기업이 갖고 있는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대내외적인 문제를 슬기롭게 헤쳐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