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복지부, 돌봄로봇·AI 등 스마트 사회서비스 기술·지자체 선정

디지털 기술 접목 6개 복지기술 지원

홍천·안동·당진·금산·동두천 등 적용





보건복지부는2024년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으로 6개 복지기술과 5개 지자치를 선정했다. 스마트 사회서비스는 돌봄 로봇,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에서 제공하도록 지원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유도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복지부는 16일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충남 당진시 △충남 금산군 △경기 동두천시 등 5개 지자체를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 사업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사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제공방식을 효율화하기 위해 새로운 복지기술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나 취약계층을 주 대상으로 하는 복지기술의 특성상 개발된 기술의 활용을 위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통해 복지기술과 관련된 연구, 개발을 확대함과 동시에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현장 실증과 활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2월,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복지기술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총 65개의 기업이 참여를 희망했다. 이후 2차례의 기술 심사와 지방자치단체 모집을 거쳐 5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적용할 복지기술은 노인맞춤돌봄 대상자에 돌봄조끼(HUGgy)를 활용한 노인 안전·안심 서비스 제공하거나 배뇨량이 측정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지역 내 공립요양시설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총 6개가 선정됐다. 독거노인에 AI가 접목된 스마트밴드 및 스피커를 활용한 돌봄 및 안심 서비스도 제공된다.

관련기사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술 및 지자체 선정결과 . 자료=복지부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술 및 지자체 선정결과 . 자료=복지부


최종 선정된 6개 기업에는 보유한 기술, 제품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 주민에 시범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과제당 1억~2억 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입증한 기업에는 상용화 및 판로개척 등에 활용 가능한 실증결과 확인서가 제공되며,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아울러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은 지역주민에 혁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은 매칭된 지역과 기업 간의 협약 체결 및 세부 사업계획 수립을 거쳐 6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김현준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민간의 창의적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방식의 효율성을 높여 서비스 제공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라며 “정부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으로 복지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세종=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