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금리와 반도체 산업 부흥 등 주요 경제 정책 영향으로 글로벌 자금의 미국 쏠림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분석 자료를 인용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뤄진 해외 투자 가운데 3분의 1 가량이 미국을 향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 이전 미국의 점유율이 평균 18%에 그쳤던 것과 비교해 크게 높아진 수치다.
블룸버그는 5.5%에 육박하는 고금리가 해외 투자자들에게 매력으로 작용했다고 짚었다. 또 조 바이든 행정부가 재생에너지와 반도체 산업 부흥을 위해 수십 억 달러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각종 이니셔티브를 채택하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큰 폭으로 늘었다고 봤다. IMF에 따르면 미국은 2021~2023년 동안 국내총생산(GDP)의 약 1.5%에 해당하는 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으로 글로벌 자금이 몰리며 코로나 이전 세계의 뭉칫돈을 끌어모았던 중국과 신흥국들은 투자자들의 관심권 밖으로 밀려나는 모양새다. IMF에 따르면 국가 간 자본흐름 총액에서 중국 비중은 2019년까지 10년간 7% 수준이었지만 2021~2023년 3% 수준까지 내려앉으며 반토막이 났다. 중국 상무부 자료를 봐도 중국으로의 FDI는 올들어 4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자본 유출이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신흥국 전체에 대한 총 FDI 규모는 GDP의 1.5% 수준에 불과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조나선 포튼 국제금융협회(IIF) 분석가는 “미국 등 큰손이 주목받으며 신흥시장으로 유입되는 자금 일부가 말라버렸다”고 짚었다.
다만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며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다 11월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이 뒤집힐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미국의 급증하는 재정 적자와 가속화하는 정치적 양극화 등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리서치회사 TS롬바드의 그레이스 팬은 “규제의 명확성을 바탕으로 한 법치주의가 다음 대통령 임기 동안에도 균형있게 이어질 것인가가 관건"이라며 “이는 탈(脫) 달러 움직임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한 기본 요건”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