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상] 정부 "의협 집단 휴진 참여율 14.9%…4년 전의 절반 수준"

복지부 18일 오후 4시 기준 집계

의협 "자체 파악 결과 50% 휴진"

대한의사협회가 집단 휴진에 돌입한 18일 경기 성남시의 한 소아청소년과 앞에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한 반대 취지로 휴진을 결정한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성남=연합뉴스대한의사협회가 집단 휴진에 돌입한 18일 경기 성남시의 한 소아청소년과 앞에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한 반대 취지로 휴진을 결정한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성남=연합뉴스




의협, 총궐기대회 강행! 시민들 불매운동 확산

오늘의경제이슈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8일 집단휴진을 강행했지만, 의료 현장에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정부는 집단휴진 참여율이 4년 전 집단행동 당시의 절반 수준인 14.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의협의 집단휴진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5379곳으로, 유선으로 휴진 여부를 확인한 3만 6059곳(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 중 14.9%에 그쳤다.



이는 2020년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 첫날(8월 14일) 참여율 32.6%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의료계 안팎에 따르면 집단휴진이 없어도 평소 평일 휴진율은 5∼6% 수준은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전남이 6.4%로 가장 낮았고 울산(8.3%), 광주(8.4%), 경남(8.5%)이 한 자릿수였다. 반면에 대전은 22.9%로 가장 높았고, 세종(19.0%), 강원(18.8%), 경기(17.3%) 순으로 많이 휴진했다.

서울은 16.6%로 집계됐으며 부산 11.9%, 대구 13.8%, 인천 14.5%, 충북 12.1%, 충남 11.7%. 전북 15.2% 경북 14.2%. 제주 13.4% 등이었다.

대학병원 교수들도 의협의 집단휴진 참여 의사를 밝혔으나 대대적인 휴진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의료계의 집단휴진에 대해 일방적인 진료취소에 대해 고발 조치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 방침을 보였고, 교육부는 의대가 있는 대학에 집단휴진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다만 서울대의대 관련 병원 4곳에서 전날에 이어 이날도 교수들의 집단휴진이 실시된 가운데 서울의 '빅5' 대형병원에서는 '무기한 집단휴진' 움직임이 확산 중이다. 의협 역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해 의정 갈등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앞서 의협은 ARS, 네이버 휴진 설정 등을 고려해 자체 파악한 결과 휴진율이 50% 내외인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또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총궐기대회 참석자가 4만 명이라고 밝혔는데, 이 역시 5000~1만 2000명 수준이라는 경찰 추산치와는 차이가 컸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