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립암센터, 이달부터 ‘보건의료 특화형 개인정보 안심구역' 운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립암센터가 이달부터 ‘보건의료 특화형 개인정보 안심구역'을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개인정보 안심구역은 환경적 안전성을 갖추면 기존에 사실상 제한됐던 가명정보 처리를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관련기사



앞서 개인정보위가 지난 해 12월 국가암데이터센터를 보유한 국립암센터를 안심구역으로 지정한 뒤, 국립암센터는 데이터 분석공간을 확보하고 시스템‧네트워크 개선 등 처리 환경을 갖춰 이달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개인정보위는 국립암센터 내 개인정보 안심구역이 운영되면서 의료 가명정보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에는 희귀암 등을 연구하기 위한 가명처리 과정에서 데이터 품질이 훼손될 경우 연구 자체가 어려웠지만, 안심구역 내에서는 데이터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가 가능해졌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다. 가명처리 데이터의 적정성 검사를 위해선 원칙상 전체 데이터의 전수 검사가 필요하지만, 안심구역에서는 표본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 영상·이미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전했다.

국립암센터는 안심구역 개소에 맞춰 선정한 생명윤리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등 8개 분야 과제에 대한 연구에 착수한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의료 데이터 연구진과 간담회도 가졌다. 연구진은 가명정보 처리 기준이 세분화돼야 한다는 의견 등을 제시했으며, 개인정보위는 이를 적극 살펴보기로 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국립암센터에서 추진하는 희귀암·민감상병 발생원인 분석, 유전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암진단 AI 개발 등은 국민 건강증진과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립암센터가 가명정보 보건의료데이터 연구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