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尹·기시다 12번째 회담, 리더십 교체에도 굳건한 한일 관계 확립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6~7일 방한하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12번째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번 회담은 윤 대통령이 한일 관계 복원의 파트너로 긴밀하게 공조해온 기시다 총리와의 고별 회담 성격이 짙다. 기시다 총리는 지지율 침체로 이달 27일 자민당 총재 선거 출마를 포기하고 총리직에서 물러난다. 마지막 공식 회담에서 두 정상은 누가 일본의 차기 총리가 되더라도 한일 협력 관계를 이어간다는 의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의 한미일 3국 공조 발전 방안도 의제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관련기사



북러 군사 밀착과 북중러 결속 강화로 동북아 신냉전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 가치관을 공유하는 일본과의 경제·안보 협력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한일 관계 개선은 공고한 한미일 안보 협력의 전제 조건이다. 또 경제·안보 부문에서 우리의 대미 협상력을 끌어올리는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미국 대선 변수 등과 맞물려 글로벌 질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흔들림 없는 한미일 3국 공조를 이어가려면 아직은 취약한 한일 관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 특히 북한이 미국 대선 전의 안보 공백을 틈타 7차 핵실험 등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이웃인 일본과의 안보 공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일 관계는 윤·기시다 리더십하에서 셔틀 외교가 복원되는 등 정상화 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한일 관계 발전이 개별 지도자들의 ‘브로맨스’나 외교 치적에 그쳐서는 안 된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라인야후 사태, 사도광산 유산 등재 등으로 양국 관계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이번 정상회담에서 외교적 신뢰를 확고히 다져야 한다. 그래야 차기 리더십이 정치적 부담 없이 한일 관계 발전의 모멘텀을 이어가 내년 수교 60주년을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 도약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 무엇보다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의 강제동원 해법에 대한 ‘성의 있는 호응’으로 미완의 과제를 매듭짓는 것이 중요하다. 굳건한 한일 공조로 흔들림 없는 한미일 협력의 동력을 확보해야 북한의 도발을 봉쇄하고 지속 가능한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확립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