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집값 뜀박질하는데…통화량 또 늘었다

M2 전월비 0.4% 전년대비 6.2%↑

"6%대 증가폭 안심할 수 없는 수준"

기재부 5개월째 내수회복 판단 이어가

서울 시내 전경. 연합뉴스서울 시내 전경. 연합뉴스




수도권 집값이 치솟는 가운데 시중 유동성이 또다시 증가했다. 이 때문에 당분간 부동산 시장 과열세가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7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7월 광의통화(M2)는 평균 잔액 기준으로 전월보다 16조 3000억 원(0.4%) 늘어난 4053조 900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6.2%로 2022년 10월(6.4%) 이후 증가율이 가장 컸다.

M2 증가는 수익증권이 한 달 새 10조 8000억 원 불어난 영향이 컸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강화 영향으로 단기 채권형 펀드를 중심으로 수익증권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통화량 증가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승헌 숭실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M2가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늘었다고 해도 전체 양과 증가 폭을 보는 게 중요하다”며 “6월에 이어 M2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6%대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안심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기획재정부는 국내 경기에 대해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기재부의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은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견조한 수출, 제조업 중심의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속도 차이를 언급했지만 큰 틀에서 정부의 내수 회복 조짐 진단은 다섯 달째 지속되고 있다. 이는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생각과 괴리가 있다. KDI는 현재 내수가 부진하며 이 때문에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KDI는 9일 발표한 ‘경제동향 9월호’에서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며 10개월째 내수 부진 판단을 내렸다.


김혜란 기자·세종=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