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年 7.4억톤 물부족한데 주민반대 댐 건설 연기

하천유역리계획 11월 용역 완료

신규 댐 건설 방안 등도 담길 예정

지천댐 반대 대취위원회 주민들이 지난달 27일 충남 청양군 송방리 청양문화예술회관에서 지천 기후대응댐 후보지 주민설명회에 반대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지천댐 반대 대취위원회 주민들이 지난달 27일 충남 청양군 송방리 청양문화예술회관에서 지천 기후대응댐 후보지 주민설명회에 반대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주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댐은 건설 확정을 늦추기로 했다. 2030년 물 부족량이 7억 40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물 공급 효과가 큰 댐 건설 정책이 지역 여론에 휘둘릴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환경부는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설명회를 열고 댐 신설지를 포함한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수립 용역을 11월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중 주민 협의가 이뤄진 곳부터 계획안에 우선적으로 반영된다. 계획안 반영이 곧 댐 건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업에 더 속도를 낼 수 있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올해 7월 14개의 댐 신설 후보지를 발표했다. 이 중 10곳은 지역 의견 수렴을 위한 주민설명회가 진행됐지만 수입천댐(강원 양구), 단양천댐(충북 단양), 지천댐(충남 청양), 동북천댐(전남 화순) 등 4개 지역에서는 설명회가 이뤄지지 못했다.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 여론이 거세 설명회가 무산되거나 일정을 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주민 공감대가 형성된 곳은 관리 계획에 포함되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물 공급 효과가 큰 댐 건설이 지역 여론에 밀리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물 부족 국가다. 환경부에 따르면 2030년부터 전국에서 연간 7억 4000만 톤의 물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강 유역에만 이 중 절반인 3억 7600만 톤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됐다. 기후변화 시나리오까지 반영하면 물 부족량은 연간 17억 8000만 톤까지 늘어난다. 인구 감소로 생활용수 수요는 줄지만 추가로 조성되는 국가산업단지들에 필요한 공업용수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세종=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