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자치단체별 안전 역량을 평가하는 지역안전지수에서 지난해 17개 시·도 가운데 부산이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022년 2위에서 지난해 1위로 올라섰고 세종특별자치시는 1위에서 6위로 급락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21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지역안전지수에서 경기도는 평균 1.50 등급을 받으며 1위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매년 지자체의 안전 관리 책임을 강화하고 취약 분야에 대한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에 대해 1에서 5까지 등급을 각각 부여한다.
경기도는 용인시, 하남시, 의왕시 등을 중심으로 고루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평균 등급 2.0인 서울특별시가 2위를, 경상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2.50 등급)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2022년 평균 1.83등급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을 받은 세종시는 지난해 2.83등급을 기록하며 전체 6위로 떨어졌다. 6개 평가 분야 중 교통사고와 화재 부문에서 등급이 두 단계 씩 하락한 탓이다. 지역안전지수 산출 지표에는 실제 교통사고와 화재로 인한 피해자 수 뿐만 아니라 의료보장 수준과 노후건축물 규모, 교통단속 CCTV 등 예방 차원의 인프라도 포함되면서 이들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광역시는 평균 등급 4.0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부산시는 동구·부산진구·사상구·수영구 등 상당수 지역이 평균 4등급대의 낮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지난 2022년과 2023년 각각 자살과 범죄 부문에서 행정안전부의 ‘안전진단 대상지’로 지정돼 별도의 지원까지 이뤄졌지만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행정안전부의 안전 지원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부산은 올해도 ‘복합사고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정 의원은 “지자체 간 안전지표의 편차가 매우 크다”며 “부산의 경우 생활안전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낮은 성적을 내고 있는 데 대해 중앙 정부와 지자체장의 특별한 관심이 요구된다”고 했다.
다음은 지난해 17개 시도 평균 지역안전등급 순위.
△1위 경기도(1.50 등급) △2위 서울특별시(2.00) △3위 경상남도·전북특별자치도(2.50) △5위 울산광역시(2.67) △6위 세종특별자치시·광주광역시(2.83) △8위 인천광역시·충청북도·대전광역시(3.00) △11위 제주특별자치도(3.17) △12위 충청남도(3.33) △경상북도(3.50) △14위 대구광역시·강원특별자치도(3.67) △16위 전라남도(3.83) △17위 부산광역시(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