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마른김 생산량이 올해보다 1000만 속(10억 장)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김 양식장 면적을 최대 5070㏊ 늘리고 김의 해외 수출 명칭은 ‘GIM’으로 통일해 지속적인 내수와 수출 수요 증가에 대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김은 지난해 수출 1조 원을 달성하는 등 국내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나 생산량은 그에 못 미쳐 가격이 크게 올랐다. 올해 4월 김 도매 가격은 1속 당 1만 89원으로 1년 전(5603원)보다 80% 이상 치솟기도 했다.
해수부는 내년 김 생산량이 올해보다 1000만 속(1속=100장) 늘어난 1억 6000만 속이 생산돼 수급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양식장은 2700㏊(축구장 3800개 규모) 확대하고 먼 바다에서 이뤄지는 김 양식도 1000㏊ 규모로 최초 시도된다. 전남 마로 해역 양식장 1370㏊에서도 올해부터 생산이 이뤄진다. 송명달 해수부 차관은 “바다가 아닌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을 내년부터 개발하고 고수온에 강한 김 양식 품종을 현장 실증 후 보급할 것”이라며 “빠르게 진행되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안정적인 생산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수출 영문 명칭은 ‘GIM’으로 통일한다. 그간 해외에서 김은 ‘노리(Nori)·씨위드(Seaweed)· 레이버(Laver)’ 등 여러 명칭으로 사용돼 브랜드 확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수부는 “우리 김 영문 명칭인 GIM을 확산시키고 우리 김 제품 규격안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규모 마른김 업계는 조직화·규모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해수부는 가칭 ‘마른김 수협’ 출범을 지원하는 등 뿔뿔이 흩어진 소규모 업체들의 조직화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산지거점유통센터와 김 가공·수출을 위한 연구개발(R&D) 등도 지원한다.
정부와 업계 간 소통도 늘린다. 정부는 종자·양식·가공·수출 업계가 모두 참여하는 김 산업 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정부와 김 업계의 업무협약(MOU)도 체결한다. 송 차관은 “안정적인 생산기반 조성부터 가공, 수출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까지 김 산업 전 주기를 철저히 관리하고 개선하겠다”며 “세계인들이 ‘김’ 하면 대한민국을 떠올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