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안이 구체화되면서 국내 자동차·배터리 업계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세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글로벌 최대 규모로 이뤄지던 미국 내 투자에도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완성차·배터리 업계는 제품을 다각화하는 등 생산 계획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국내 완성차·배터리 업계와 KOTRA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2022년 미국 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시행된 후 미국에서 해외국 중 가장 많은 37건의 투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전기차·배터리 기업을 필두로 총 198억 432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1만 6183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해외 기업이나 주정부와의 합작 투자를 제외한 수치로 전체 투자 규모는 더욱 크다는 것이 업계 예측이다.
글로벌 최대 규모의 투자를 시행 중인 국내 기업들에 전기차 보조금 폐지안은 그야말로 날벼락이다. 14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IRA 중 하나인 최대 7500달러의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기차 보조금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이 심화하는 것을 막아주던 마지막 보루로 여겨져 왔다. 보조금이 폐지될 경우 미국 내 전기차 수요는 급감하게 되며 공급자인 국내 배터리 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내년 초 본격 양산을 계획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부터 문제다. 현대차그룹은 8월 전기차 전용 공장으로 계획했던 메타플랜트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을 혼류 생산한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한다는 방침이었다. IRA 폐지안이 현실화되면 현대차그룹은 추가로 하이브리드 생산량을 늘리는 등 생산 계획을 바꿀 가능성이 높다. 이를 위해 공장을 개편하고 판촉 방식도 변경할 수 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공장 가동률 유지를 위해 사업 다각화로 대응할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가 최근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 테라젠에 2조 원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이다. 삼성SDI도 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에 더욱 집중해 수익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SK온도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등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보조금뿐 아니라 생산세액공제(AMPC)에도 변화가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지금까지 IRA에 따른 AMPC 수혜를 바탕으로 꾸준히 미국 배터리 시장점유율을 높여왔다. 2022년 36.2%에 불과하던 점유율은 올해 4월 기준 49.7%까지 치솟았다. 영업이익을 받쳐주던 AMPC까지 트럼프 당선인이 손보게 되면 향후 운영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조금은 폐지 등 큰 폭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IRA 투자로 혜택을 보고 있는 대부분 지역이 공화당인 만큼 AMPC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게 대다수의 기대”라며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워낙 종잡을 수 없는 인물인 만큼 실제 제도가 시행될 때까지 여러 시나리오를 가지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