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각 인선을 마무리하자마자 ‘관세 폭탄’ 투하를 공식화했다. 트럼프는 마약 유입과 이민자 문제 대응을 이유로 멕시코·캐나다·중국에 대한 관세를 예고했지만 사실상 3대 대미(對美) 수출국을 정조준한 행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미국의 이익에 방해가 되면 동맹마저 내친다는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가 현실화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역대 최대 규모의 대미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한국 역시 비상등이 켜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25일(이하 현지 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취임일인 내년) 1월 20일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데 필요한 모든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기한은 펜타닐 등 마약과 이민자 유입이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로 못 박았다. 트럼프는 중국 마약이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이유를 들며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다른 추가 관세에 더해 10%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도 밝혔다.
트럼프가 그간 압박해온 중국과 멕시코는 물론 미국의 오랜 우방인 캐나다에까지 관세 투하를 예고하면서 ‘2차 무역 전쟁’ 공포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 달러 대비 캐나다 달러는 26일 장중 4년 만에 최고(가치 최저)를 기록했다. 멕시코 페소화 가치 역시 미 달러 대비 1% 넘게 급락하며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거래됐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통화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26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전날보다 4원 내린 1398.2원에 거래됐다. 원·달러 환율은 오전 한때 1407원을 넘기도 했다.
멕시코·캐나다와 중국은 2002년부터 줄곧 대미 수출액 기준 상위 3위권을 기록해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멕시코는 지난해 연간 미국에 4756억 달러(약 666조 1253억 원)를 수출하며 중국을 제치고 1위로 부상했다. 중국은 같은 기간 4272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고 그 뒤를 캐나다(4211억 달러)가 이었다. 한국의 경우 1162억 달러 규모를 수출해 6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트럼프가 관세 방침을 밝힌 직후 류펑위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무역·관세 전쟁의 승자는 없다”며 “중국은 중미 경제 및 무역 협력이 본질적으로 상호 이익이 된다고 믿는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 역시 일제히 트럼프의 발언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중국중앙TV(CCTV)는 “관세가 실현되면 매년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최대 780억 달러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짚었고 경제 매체 재련사는 “트럼프가 관세 몽둥이를 다시 휘두르고 있다”고 비난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은 이날 트럼프의 관세 리스크를 이유로 내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존 4.3%에서 4.1%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트럼프는 중국에 60% 초고율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미국과 USMCA를 체결해 무관세 혜택을 보장받았던 캐나다와 멕시코의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트럼프는 멕시코에 대해 현지 생산 자동차에 100~200%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두 국가에 대한 관세 계획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다. 지난해 기준 멕시코 수출의 83%, 캐나다 수출의 75%가 미국으로 들어갔을 만큼 두 국가의 대미 교역 의존도는 절대적이다. 블룸버그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트럼프 발언 직후 그에게 연락해 국경 보안 및 무역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에게 캐나다 국경을 통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이민자 수가 멕시코에 비해 현저히 적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이번 발언을 통해 1기 행정부에서 폐기하지 못한 북미 FTA를 차기 행정부에서 무력화하겠다는 확고한 입장을 내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시 W 부시 대통령 시절 무역 협상가를 지낸 존 베로노 미국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는 “(트럼프의) 일방적 관세 부과는 USMCA 협정을 분명히 파기하려는 것”이라며 “관세 방침에 영향을 받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관세로 보복할 경우 미국 업체들 역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간 멕시코를 미국 시장의 ‘저가 관문’으로 활용해온 해외 기업들, 특히 아시아의 자동차·전자 제조 업체들의 타격이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매년 대미 교역 흑자를 기록해온 한국 역시 트럼프의 관세 공세 사정권에 놓여 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대미 교역에서 444억 달러(약 62조 원)를 남기며 8위의 무역흑자국으로 올라섰다. 트럼프는 이미 모든 수입품에 대한 10%의 보편관세를 예고하며 미국의 이익에 방해가 된다면 아군도, 적군도 없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힌 상태다. 로이터통신은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국의 수입 관세가 1930년대 수준으로 인상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며 “(트럼프의 관세가) 또 다른 보복을 이끌고 세계 공급망을 대대적으로 재편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