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은 평균적으로 17세 때 4000여만원의 최대 적자를 기록하고 43세에 1750만 원 가량의 최대 흑자를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43세에 정점에 이른 노동 소득은 줄면서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26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총소비는 전년보다 9.9% 증가한 1364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공공소비가 전년보다 8.4% 늘고, 민간소비는 10.6% 증가했다. 공공소비 가운데서는 공공보건소비(8.6%)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교육소비(12.2%)가 증가율이 높았다.
노동소득은 1년 전보다 6.3% 증가한 1168조 7000억 원이다. 이에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차감한 생애주기 적자는 직전 년도보다 53조 7000억 원 증가한 195조 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생애주기 적자가 늘어난 이유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늘어났기 때문이다.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76조 8000억 원, 162조 5000억 원 적자로 나타났다. 반면 15~64세의 노동연령층은 143조 9000억 원 흑자가 났다.
국민 1인당 생애주기는 이처럼 '적자→흑자→적자' 구조다. 소득이 없거나 적은 0∼27세까지 적자였다가 28세에 흑자로 진입, 노동소득이 뒷받침되는 60살까지 흑자를 유지하다가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유년층은 교육소비, 노년층은 보건소비가 많은 영항도 있다.
1인당 소비는 17세에 4113만 원으로 가장 많다. 1인당 노동소득은 17세 이후 점차 증가해 43세에 4290만 원으로 정점을 찍고 점차 줄어든다. 이에 1인당 생애주기 적자는 17세에 4078만원으로 최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자 폭이 가장 큰 나이는 43세, 1753만 원이다.
2021년 기준 17세에 3757만 5000원의 최대 적자, 46세 때 1823만1000원 최대 흑자였는데 1년 전보다 적자 폭은 늘고 흑자 폭은 줄었다. 2010년 이후로 살펴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다. 적자 재진입 연령은 56세(2010년)에서 61세(2022년)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