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트럼프, 北·中·日·러 '좋은 관계' 과시할 때…입에 오르지도 못한 '한국'

당선후 첫회견서 푸틴·김정은·시진핑과 친분 과시

日총리와 취임 전 회동 가능성도 시사…'한국'은 언급 안해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대통령 취임 한 달여를 남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한반도 안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 강대국과의 정상외교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특히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잇따라 과시하면서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과의 직접 회동 추진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아 트럼프 당선인의 시야에서 한국이 배제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섞인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대선 승리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이들 국가의 정상들을 모두 언급했다.

가장 많이 언급한 정상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었다. 우선 트럼프 당선인은 푸틴 대통령과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러시아 군인들이 "천문학적으로" 희생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푸틴, 젤렌스키(우크라이나 대통령)와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을 향해 "(종전을 위한) 협상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김정은, 내가 잘 지내는 또 다른 사람”


트럼프 당선인은 이 전쟁에 러시아를 돕기 위해 북한군이 파병된 것과 관련, "(김 위원장은) 내가 잘 지내는 또 다른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당시 김 위원장을 3차례 직접 대면한 바 있다. 또 북한의 핵 위협을 종식하기 위한 북미 대화가 결렬된 이후에도 이른바 '러브레터'로 불리는 서한외교를 이어왔다.

그는 올해 대선 과정에서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김 위원장과 사이가 좋다고 언급해왔는데 재집권 당선 후 첫 기자회견에서도 두 사람 사이의 친분을 거듭 밝힌 것이다.

“시진핑은 내 친구였고, 놀라운 사람”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좋은 관계’를 강조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미 자신의 대통령 취임식에 시 주석을 초청한 트럼프 당선인은 시 주석의 취임식 참석 여부는 알지 못한다면서도 "코로나19 전까지 좋은 관계였고 코로나19는 그 관계를 끝내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은 세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는 시 주석과 특히 편지를 통해 아주 좋은 대화를 나눴다. (시 주석은) 내 친구였고, 놀라운 사람"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미중 정상 간 대화를 통해 세계의 분쟁을 해소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아키에 여사와 만찬도


트럼프 당선인은 동맹국인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는 취임 전이라도 회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날 마러라고에서 만찬을 한 고(故)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미망인 아키에 여사를 통해 이시바 총리에게 "책과 몇몇 다른 물건을 보냈다"며 각별히 챙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미국 내에서도 ‘한국 패싱’ 우려 나와


이처럼 당선 후 첫 회견에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일본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의 정상을 모두 거론한 트럼프 당선인은 ‘한국’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승리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를 나누기도 했지만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통령 탄핵 정국이 되풀이되고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는 상황이어서 ‘한국 패싱’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 탄핵 정국으로 양국 정상 간 네트워크가 불가능해진 점에 대한 경고음이 미국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 석좌는 지난 12일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 관세 공약과 한국의 대미무역 흑자를 언급하면서 "이러한 조합은 거의 확실히 10% 이상의 한국에 대한 관세를 의미한다"며 "모두가 마러라고나 백악관에 가서 개별 협상을 시도하는 데 한국에는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주한미대사 지명도 ‘하세월’ 우려


공교롭게도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일본 주재 미국 대사를 지명했다. 앞서 지난 5일엔 중국 주재 미국 대사도 지명했다.

하지만 주한미대사에 대해선 아직 발표가 없는 것은 물론 워싱턴 외교가에선 누가 후보로 거론되는지조차 회자되는 게 별로 없다.

지난 2017년 첫 임기를 시작했을 때도 트럼프 당선인은 주한미대사 지명을 미루다가 1년 반 정도 시간이 흐른 2018년 7월에야 해리 해리스 전 미 태평양군사령관을 지명한 바 있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