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돗물에서 발암성 화학물질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PFAS)이 잇따라 검출되면서 '수돗물 공포'가 걷잡을 수없이 확산하고 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탓에 우려는 더 커지고 있는 모앙새다.
25일 일본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은 전날 전문가 회의를 열고 2026년 4월부터 PFAS를 수도법상 ‘수질 기준’에 포함해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기준치는 PFAS의 가장 유해한 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을 합해 L(리터)당 50나노그램(ng·10억분의 1g)으로 정했다.
PFAS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기불소 화합물을 이르는 용어인데 최근에 그 유해성이 알려졌다. 자연에서 잘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도 불린다.
일본 환경성과 국토교통성은 같은 날 전국 44곳 전용 수도(상수도가 아닌 관리자가 시설 내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수도)에서 정부의 기준치를 넘는 PFAS가 나왔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준치를 초과한 PFAS가 검출된 곳은 주로 일본 자위대나 주일 미군 기지였으며, 도쿄도 후추형무소도 포함됐다. 특히 후쿠오카현 항공자위대 아시야기지에서는 기준치의 30배나 검출돼 당국은 인근 주민들에게 물 사용 시 주의를 당부했다.
앞서 지난달 환경성과 국토교통성은 올해 도야마현을 제외한 46개 광역지자체 소재 수도사업소 1745곳 가운데 332곳 수돗물에서 PFAS가 나왔다는 내용의 발표를 내놨다. 다만 이 조사에서 기준치를 넘은 곳은 없었다.
문제는 PFAS가 어디에서 흘러들어왔는지, 외부로 퍼져 나갔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재로서는 자위대·소방 훈련 시 거품 소화제를 사용하는 곳에서 토양 및 지하수를 통해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하라다 고지 교토대 준교수는 요미우리에 “아직 과학적으로 검증된 연구 결과가 부족한 만큼 기준치를 넘은 지역은 지속해서 건강 조사를 실시해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