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이제 외국인 독립유공자도 기억하자

김동진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회장




올해는 3·1만세항쟁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이다. 최근 일본이 수출규제를 들고 나와 한국을 깔보는 본심을 드러내는 판국에 자신을 버리고 나라를 위해 희생한 독립운동가들에게 다시 옷깃을 여미게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에는 외국인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건국훈장을 서훈한 독립유공자 수는 약 1만5,000여명이다. 이 중 89명은 외국인이다. 89명 중 19명은 한민족으로 국적을 바꿨으니 순수 외국인은 70명이다. 유감스럽게도 외국인 독립운동가의 존재는 우리 사회에서 거의 묻혀 있다. 외국인 독립유공자 70명 중 33명은 중국인이다. 외국인 독립유공자의 과반에 육박한다. 중국인 독립유공자는 대부분 정치인이거나 혁명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도운 분들이다. 특히 일본이 우리와 공동의 적이었기에 국가 간 연대의 의미로 도왔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인을 제외한 외국인 수훈자는 37명이다. 이들은 한국과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양심에 따라 행동한 사람들이다.


한국인 독립운동가들은 자신의 나라이기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으려 독립운동에 나섰다. 그러나 외국인 독립운동가들은 아무런 대가도 바라지 않고 정의와 인도주의에 입각해 우리를 도운 사람들이다. 이들 중에는 목숨까지도 위태로운 지경에 처했던 사람들도 있다. 이제라도 우리를 도운 외국인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헌신에 감사해야 한다.

관련기사



우리는 은혜를 아는 민족이 돼야 한다. 이는 곧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선진문화 민족으로 인식되고 국격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또 외국인 독립운동가들을 올바로 평가해 그들의 공적을 우리 역사에 올바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오늘날 교과서에서는 물론 언론에서도 외국인들의 공적이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고 있다. 독립운동 역사에서 외국인들의 역할을 그저 이방인의 행적으로 치부하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외국인들의 공적을 우리 역사에 올바로 반영해야 한다.

현재 내국인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서훈 훈격에 따라 보훈 연금을 받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독립유공자 후손은 연금 수혜대상이 아니다.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으로서 내국인 후손에게는 연금을 주고, 외국인 후손에게는 서훈만 하고 연금은 주지 않는 것이 옳은 처사인지 깊이 성찰해봐야 할 문제이다. 외국인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기념사업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들 외국인 독립유공자 추모식에 국가원수의 조화를 보내고 국무총리나 최소한 장관이 추모식에 참석해 이들에게 고마움을 전해야 한다. 외국인 독립유공자를 기억하는 행사는 민간외교로서 국익에도 기여하리라 본다. 끝으로 대통령에게 호소한다. 올해 광복절에 대통령 경축사에서 외국인 독립유공자들의 공헌이 언급되고 그들에게 감사를 표해주시기를 간곡히 바란다. 이는 국민들에게 외국인 독립유공자들의 한국에 대한 공헌을 알리는 계기가 되고 국민들은 정부의 선진문화 정책에 자부심을 느끼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